산업 기업

SK㈜, 전력반도체 사업 강화…예스파워테크에 1200억 투자

SiC전력반도체 선도기업 인수

전기차 핵심부품 밸류체인 구축

예스파워테크닉스의 포항 SiC 반도체 생산 시설 내부 전경.예스파워테크닉스의 포항 SiC 반도체 생산 시설 내부 전경.




SK그룹의 투자 전문 지주사 SK㈜가 실리콘카바이드(SiC·탄화규소) 전력반도체 사업 강화에 나선다. 전기차 핵심 부품으로 관련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어서다.



SK㈜는 국내에 유일한 SiC 전력반도체 설계·제조사인 예스파워테크닉스의 경영권 인수와 유상증자에 총 1200억 원(지분 95.8% 확보)을 투자한다고 27일 밝혔다. 향후 지속적인 연구개발(R&D) 투자를 통해 예스파워테크닉스를 글로벌 SiC 전력반도체 선도 기업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전력반도체는 전기차, 전자제품, 5세대(5G) 통신망 등에서 전류 방향과 전력 변환을 제어하는 데 쓰이는 필수 반도체다. SiC 전력반도체는 차세대 전력반도체로 기존 실리콘(Si) 전력반도체 대비 약 10배의 전압과 수백도의 고열을 견디는 동시에 두께는 10분의 1 수준밖에 되지 않는 장점을 가졌다. 앞으로 고전압이 필요한 초급속 전기차의 충전 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전력반도체 시장에서 SiC 전력반도체 채택률은 2025년 60%를 넘을 것으로 전망된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욜디벨롭먼트는 SiC 전력반도체 시장을 2026년 49억 달러(약 6조 1000억 원) 규모로 전망했다.

SiC 웨이퍼 생산사인 SK실트론을 자회사로 둔 SK㈜는 이번 예스파워테크닉스 인수를 통해 국내 최초로 SiC 전력반도체 소재인 웨이퍼 생산부터 SiC 전력반도체 설계·제조까지 이르는 밸류체인을 구축하게 됐다. 전 세계적으로 SiC 웨이퍼 공급 부족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예스파워테크닉스는 SK실트론을 통해 안정적으로 SiC 웨이퍼를 공급받는 등 다양한 시너지가 기대된다.

김기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