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충북, 이산화탄소 반응경화 시멘트 제조기술사업 공모 선정

탄소중립시대, 보통 포틀랜드시멘트 공정대비 CO2 50% 감축 기술개발 개시 ?

충북 청주시에 자리잡고 있는 충북도청. 사진제공=충북도충북 청주시에 자리잡고 있는 충북도청. 사진제공=충북도




충북도는 단양군에 위치한 한국석회석신소재연구소가 산업부에서 공모한 이산화탄소 반응경화 시멘트 제조기술사업에 선정돼 국비 278억원을 확보했다고 2일 밝혔다.



이번 이산화탄소 반응경화 시멘트 제조기술사업은 보통 포틀랜드시멘트 제조공정 대비 이산화탄소 50% 감축이 가능한 이산화탄소 반응경화 시멘트 제조기술을 확보하고 이를 적용한 건설용 2차 제품 제조기술을 개발하는 사업이다.

관련기사



이번 사업으로 국내 수급 천연 및 부산자원을 활용한 이산화탄소 반응경화 시멘트 제조기술을 확보하고 생산라인을 구축함으로써 국내산 친환경 건설재료 제조기술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블록, 타일, 판넬과 같이 콘크리트 2차 제품 시장에 소비되는 시멘트 소비중 10%를 이산화탄소 반응경화 시멘트로 대체하면 600억원의 시장규모가 확대 가능하다.

아울러 이렇게 개발한 기술은 모든 온실가스 감축사업에 적용이 가능하며 사용에 제한이 없어 파급력 또한 무궁무진하다. 특히 전체 산업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의 7%를 차지하고 있는 시멘트 산업은 충북이 전국 포틀랜드 시멘트 생산량의 38%를 차지하고 있고 이번 사업 선정을 통해 온실가스 배출량을 감축함으로써 탄소중립 실현에 한걸음 더 다가가게 될 것으로 보인다.

충북도 관계자는 “앞으로도 충청북도는 탄소중립이라는 시대적 과업에 대응해 저탄소 친환경 신성장의 지속 노력을 전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청주=박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