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文 "우리도 산림 파괴 아픔 겪어… 산림분야서 ODA 확대"

글로벌 산림재원 서약 등서 약속한 6,000만달러 공여 이행

국내서도 도시 숲 가꾸기 등으로 산림 면적 확대해 나가기로

문재인 대통령이 2일 서울 강남구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제15차 세계산림총회 개회식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연합뉴스문재인 대통령이 2일 서울 강남구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제15차 세계산림총회 개회식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2일 “한국 국민은 식민 지배와 전쟁으로 산림이 파괴된 아픔을 경험했고, 2차 세계대전 이후 산림녹화에 성공한 유일한 나라라는 평가를 받았다”고 언급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15차 세계산림총회 개회식 참석해 기조연설에서 이같이 밝혔다. 문 대통령은 “황폐해진 국토를 바라보며 숲이 우리 삶에 얼마나 중요한지를 깨달았고 온 국민이 함께 100억 그루 이상의 나무를 심어 산과 들을 다시 푸르게 바꿔냈다”며 “한국은 유엔식량농업기구로부터 ‘2차 세계대전 이후 산림녹화에 성공한 유일한 나라’라는 평가도 받았다”고 언급했다. 이어 “한국은 연대와 협력을 통해 산림 회복을 이뤄낸 경험을 바탕으로 숲을 지키고 가꾸기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에 적극 동참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문 대통령은 이를 위한 방안으로 산림복원 재정 기여, 개도국에 대한 지원, 한국 내에서의 산림확충 노력 등을 언급했다. 문 대통령은 “한국은 2030년까지 ODA 규모를 2배 이상 늘릴 계획”이라며 “산림 분야 ODA도 이에 맞춰 확대해 나가겠다. 지난해 ‘글로벌 산림 재원 서약’에 동참하며 약속했던 6,000만 달러 공여도 차질없이 이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개도국의 지속 가능한 산림자원 활용을 돕겠다”며 “베트남 맹그로브 숲 복원사업을 추진하면서 맹그로브 숲의 갯벌을 활용한 친환경 양식 기술을 함께 지원하고 있다. 되살아난 나무들은 수상 생물들이 잘 자라날 수 있는 양분을 제공하고 현지 주민들에게 새로운 일자리를 만들어줄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 한국 내에서의 산림확충과 관련해 “ 2050 탄소중립을 위한 자연 기반 해법으로서 산림의 온실가스 흡수량을 2배가량 확대한다는 목표를 세웠다”고 설명했다. 이어 “유휴토지에 나무를 심고 도시 숲을 가꾸며 산림 면적을 넓혀나갈 것”이라며 “한국의 다양한 기업들이 ESG 경영에 나서며 숲 가꾸기와 산림 분야 기술개발에 참여하고 있다. 해외 산림 보존 사업에 참여하고자 하는 기업도 늘어나고 있다”고 언급했다.

문 대통령은 “나무와 나무가 어우러져 푸른 숲을 이루듯 숲과 자연을 아끼는 마음이 하나로 모인다면 우리는 지속 가능한 녹색 미래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며 “인간이 자연과 공존하는 새로운 시대를 향해 마음과 지혜를 더해 행동의 속도를 높여 나아가자”고 강조했다.


강동효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