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北 풍계리 3번 갱도서 '전술핵 실험' 가능" 38노스 분석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연합뉴스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연합뉴스




북한이 복구 중인 풍계리 핵실험장의 굴착공사 규모와 지형 등을 고려할 때 2017년 6차 핵실험과 같은 규모의 실험은 어렵지만 전술핵무기를 실험하기에는 충분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미국의 북한 전문매체 '38노스'는 지난달 29일 '북한의 다음 핵실험: 얼마나 클까?'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통해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 핵실험장의 지형, 지질과 갱도 설계 등을 바탕으로 3번 갱도가 견딜 수 있는 폭발 규모를 추정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3번 갱도는 내부에서 두 갈래로 나뉘는데 38노스는 이들 갈래 갱도가 각각 50kt(킬로톤·1kt은 TNT 1000t의 폭발력), 120kt의 폭발을 감당할 수 있다고 상황을 짚었다.



38노스는 2017년 9월 3일 2번 갱도에서 이뤄진 6차 핵실험에 해당하는 규모(약 250kt)의 폭발은 불가능하다고 평가하면서 "만약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전술핵탄두나 다른 전쟁무기를 완전히 무기화하고 신뢰성을 시험하려고 하는 것이라면 3번 갱도를 사용 가능한 형태로 복구하는 것만으로 이미 충분하다"고 진단했다. 전술핵탄두의 폭발 규모는 10∼15kt에 달한다.

관련기사



최근 북한은 실제 전장에서 사용하는 전술핵 개발을 강조하고 있다. 지난해 발사에 성공한 신형전술유도무기는 소형 전술핵 탑재를 고려한 무기로 평가받는다.

한편 38노스는 각 갱도 위에 있는 암반과 토사량 깊이를 토대로 최대 폭발 규모를 추정했다. 3번 갱도의 두 갈래 중 더 긴 갱도 위에는 최대 600m의 암반이, 짧은 갱도에는 최대 450m의 암반이 있을 것으로 봤다. 이는 6차 때 800m보다 적다.

풍계리 핵실험장은 2006년 1차 핵실험 때 사용한 1번 갱도와 2∼6차 핵실험 때 사용한 2번 갱도, 아직 실험한 적이 없는 3, 4번 갱도로 구성돼 있다.

4년 전 북한은 1차 핵실험으로 오염돼 이미 폐쇄된 1번 갱도를 제외하고 2∼4번 갱도 각각의 입구를 폭파했지만, 정보 당국은 지난 3월 북한의 3번 갱도 복구 정황을 포착했다.

38노스는 갱도 배치가 당시 북한이 공개한 설계도와 다르거나 입구 폭파에 따른 피해가 크지 않을 경우 핵실험 준비에 필요한 시간이 훨씬 단축될 것으로 내다봤다.


김경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