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해외증시

뉴욕증시, 인플레이션 우려에 '발목'…나스닥 1.40%↓[데일리 국제금융시장]

/AFP연합뉴스/AFP연합뉴스




인플레이션 우려에 발목을 잡힌 뉴욕증시가 예상치를 웃돈 4월 고용 발표에도 하락 마감했다.



6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날보다 98.60포인트(0.30%) 내린 3만2899.37로 장을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23.53포인트(0.57%) 떨어진 4123.34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날보다 173.03포인트(1.40%) 떨어진 1만2144.66으로 마감했다.

다우지수는 6주 연속, S&P500지수와 나스닥지수는 5주 연속 내리막을 걸었다. 다우지수는 올해 들어 10%가량 떨어졌다. S&P500지수는 14%가량, 나스닥지수는 23%정도 내렸다.

이날 뉴욕 증시에서 투자자들은 고용지표와 국채금리, 기업 실적 발표 등에 주목했다.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긴축 속도를 가늠할 고용 지표는 시장의 전망보다 긍정적이었다. 미 노동부가 발표한 4월 비농업 부문 고용은 42만8000명 늘면서 월스트리트저널이 조사한 전문가들의 예상치 40만명 증가를 넘어섰다.

2월 고용은 75만명에서 71만4000명 증가로, 3월 고용은 43만1000명에서 42만8000명 증가로 하향 수정됐다.

이와 함께 4월 실업률은 전월과 같은 3.6%로 나왔다. 시장의 예상치인 3.5%보다는 소폭 오른 수치로 경제활동 참가율은 62.2%로 팬데믹 이전보다 여전히 1%포인트가량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아울러 4월 시간당 평균 임금은 전월보다 0.10달러(0.31%) 오른 31.85달러를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로는 5.46% 올랐다. 시간당 임금 상승세는 임금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를 높이는 부문으로 꼽힌다.



장기 국채금리는 인플레이션 우려에 상승했고, 단기 국채금리는 경제 경착륙에 대한 우려 속에 하락했다. 10년물 금리는 장중 3.13%까지 올라 2018년 이후 최고치를 또 갈아치웠지만 연준의 금리 정책에 민감한 2년물 국채금리는 장중 2.64%까지 하락해 장단기 금리 방향이 엇갈렸다.

관련기사



"75bp 금리 인상은 적극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아니다"라고 언급했던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이번에는 앞으로 두 번의 회의에서 50bp 금리 인상이 검토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는 연준이 당분간 공격적인 긴축 기조를 지속할 것이라는 의미로 시장에서는 연준의 공격적 긴축으로 경기가 가파르게 둔화하는 경착륙에 직면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점증했다.

한편 기업들의 실적은 대체로 부진했다. 스포츠의류업체 언더아머는 예상치를 밑돈 실적을 내놓으면서 23% 이상 폭락했다.

음식배달업체 도어대시는 매출이 예상치를 웃돌았지만 손실이 예상 보다 악화했다는 소식에 장중 10% 넘게 미끄러졌지만 낙폭을 줄이면서 1.4% 내린 채 마감했다.

핀테크 업체 블록의 주가는 매출과 순익이 예상치를 밑돌았다는 소식에도 0.7%가량 올랐고, 우주탐사 기업 버진갤럭틱의 주가는 상업 비행 개시 시점을 내년 1분기로 미루기로 했다는 소식에 9% 넘게 하락했다.

S&P500 지수 내 에너지와 유틸리티 업종만 올랐고, 나머지 9개 업종은 모두 내렸다. 자재(소재), 임의소비재, 통신, 부동산 관련주가 모두 1% 이상 떨어졌다.

전문가들은 연준의 긴축이 결국 성장을 둔화시킬 것으로 전망했다. 바클레이즈의 에마뉘엘 카우는 보고서를 통해 "연준이 우려했던 것보다 덜 매파적이었던 모습에 나타났던 주식과 채권 시장의 안도 랠리는 단기에 그쳤다"면서 "공격적인 75bp 금리 인상이 테이블에서 내려왔지만 예정된 긴축 사이클은 여전히 매파적"이라고 상황을 짚었다.

그러면서 "인플레이션 급등세가 반전되지 않는다면 중앙은행은 인플레이션을 낮추고 (중앙은행에 대한) 신뢰를 유지하기 위해 성장을 둔화시키는 것 이외에는 다른 선택이 없다"고도 했다.

이날 유가는 상승했다.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WTI(서부 텍사스산 원유) 6월 인도분은 배럴당 2.35달러(2.17%) 오른 110.61달러로 거래를 마쳤다.

런던 ICE 선물거래소에서 국제유가의 기준물인 7월분 북해산 브렌트유는 오후 10시34분 기준 배럴당 2.15달러(1.94%) 오른 113.05달러를 기록 중이다.

금 가격도 올랐다. 이날 뉴욕상품거래소에서 6월 인도분 금 가격은 전 거래일보다 온스당 7.10달러(0.38%) 오른 1882.80달러로 거래를 마쳤다.

달러화는 약세다. 이날 뉴욕외환시장에서 달러인덱스(DXY)는 전날보다 0.09% 내린 103.66을 기록했다. 달러인덱스는 유로, 엔 등 주요 6개 통화를 달러화 가치를 지수화한 것이다.


김경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