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탁현민, 尹 비서관에 "버티라…그리고 고집을 부리라" 조언

美 백악관 전통 언급하며 새 정부 의전비서관 향한 편지글을 SNS에 남겨

"애정을 가지라… 나보다 젊고 어린 사람에게 배우라" 등 조언 전해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4일 청와대 본관에서 열린 백서 발간 기념 국정과제위원회 초청 오찬에 참석하며 탁현민(왼쪽 두번째) 의전비서관에게 보고받고 있다./연합뉴스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4일 청와대 본관에서 열린 백서 발간 기념 국정과제위원회 초청 오찬에 참석하며 탁현민(왼쪽 두번째) 의전비서관에게 보고받고 있다./연합뉴스




탁현민 청와대 의전비서관이 8일 새 정부 의전비서관을 향해 “애정을 가지라”라는 조언을 남겼다. 또 “나보다 젊고 어린 사람에게 배우라. 잊어버리고 버텨라. 그리고 고집을 부리라”라는 충고도 전했다.

탁 비서관은 문재인 정부의 임기 종료를 하루 앞 둔 이날 SNS에 ‘신임 의전비서관, 행사기획비서관에게 보내는 편지’라는 제목의 글을 남겼다. 그는 “미국은 퇴임하는 대통령이 새 대통령에게 편지를 쓰는 전통이 있다고 들었다”며 “‘결단의 책상’이라고 불리는 대통령 집무실 책상에 이임 대통령이 편지를 두고 떠나면 새 대통령은 그 편지를 읽는 것으로 집무를 시작한다는 것”이라고 글을 남긴 이유에 대해 설명했다.



탁 비서관은 첫 번째 충고로 “가까이 모시는 대통령부터, 멀리는 도무지 이해할 수 없는 저 건너편의 사람들까지 애정을 가져야 한다”고 전했다. 그는 “내가 어떤 정치적 입장을 가졌던 ‘직’을 맡는 순간부터 ‘정치적 입장’보다 우선하게 되는 것이 ‘국가적 입장’이다”라며 “나는 종종 국가행사나 기념식 등을 준비하며 이 일이 ‘제사’와 같다고 생각하게 됐다. 사이가 좋지 않고, 밉고, 싫어도 제사상 앞에서 가족은 억지로 참고 예를 다하려 한다. 그 자리에서 화해도, 이해도 하게 된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두 번째 충고로 “나보다 젊고 어린 사람에게 배우라”고 언급했다. 그는 “선배들이나 나보다 윗세대에게 새로운 것을 기대할 수 없다”며 “그분들에게 배울 것은 다른 것이다. 어린 사람들에게 배우는 것은 의외의 소득도 있다”고 언급했다. 또 “함께 회의하고 기획을 하다 보면 내가 생각하지 못했던 것들을 이야기하고, 내가 무심했던 부분을 지적하고, 내가 갖지 못한 감성을 드러내는 일이 많았다”며 “그중에는 쓸모없는 것도 많았지만, 내 사고의 틀이 부서지는 경험을 하게 해준 일도 많았다”고 회고했다.

세 번째 조언으로는 “잊어버리라”고 언급했다. 그는 “대통령 재임 기간 치러내야 할 행사가 국내외를 합쳐 1,800개가량 됐다”며 “실수가 없을 수 없고, 때론 실패도 경험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렇지만 잊어버리라”라며 “당신은 내일 또 다른 일정과 행사를 준비해야 한다. 의전·행사비서관은 쉴 수 있는 일이 아니다. 그냥 계속 달리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마지막 조언으로는 “버티라. 그리고 고집을 부리라”고 언급했다. 그는 “국가기념식과 대통령 행사에 많은 사람의 요청과 민원이 없을 리 없다”며 “모든 요구에는 나름의 이유가 있고 때로는 압력으로 찾아온다. 이 정도는 해줘도 되지 않을까 갈등하게 된다”고 회고했다. 이어 “그러나 그 갈등을 못 버티고 끝내 수용하게 되면 많은 사람에게 실망을 주게 된다”며 “그러니 버티라. 그리고 고집을 부리라”고 강조했다. 또 “그것이 대통령을 위한 길이고 국민을 위한 길”이라며 “나 자신을 위한 길이다. 살아남는 방법”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글 말미에 “모쪼록 국민 입장에서 봤을 때 ‘좋았다’, ‘재미있다’ 이런 감정을 느낄 수 있도록 해달라”며 “모두를 설득하고 이해시키거나 감동시킬 수는 없다. 하지만 그것이 목표가 돼야 한다”고 언급했다. 또 “어쩔 수 없는 일들이 많이 있을 것”이라며 “그때는 책임을 져야 한다. 탈출 버튼을 늘 옆에 두라”고 조언했다.


강동효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