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3월 경상수지 67.3억 달러 흑자…고유가에 1년 새 흑자 폭 7.7억 감소

23개월 연속 흑자행진 이어갔지만

치솟는 원자재 값에 수입액 늘면서

상품수지 흑자 25억 달러 넘게 감소

1분기 흑자규모도 72.7억 달러 줄어

부산항 신선대부두에서 컨테이너 하역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연합뉴스부산항 신선대부두에서 컨테이너 하역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 3월 우리나라 경상수지가 67억3000만 달러 흑자를 기록하며 23개월 연속 흑자행진을 이어갔다. 하지만 석유 등 원자재가격 급등에 따른 수입액이 크게 늘면서 흑자 폭은 1년 새 8억 달러 가까이 감소했다.

한국은행이 10일 발표한 국제수지 잠정통계에 따르면 올 3월 경상수지는 67억3000만 달러(약 8조6000억원) 흑자로 집계됐다. 2020년 5월 이후 23개월 연속 흑자지만 지난해 같은 달(75억 달러)보다 흑자규모가 7억7000만 달러 줄어들었다.



항목별로는 경상수지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상품수지 흑자가 53억1000만 달러로 1년 전보다 25억4000만 달러 감소했다. 수출(645억1000만 달러)이 석유제품·반도체 등의 호조로 16.9% 늘었지만 수입(592억 달러) 증가 폭(25.1%)이 더 컸기 때문이다.

관련기사



특히 3월 통관 기준으로 원자재 수입액이 전년 동기 대비 52.3%나 급증했다. 원자재 중 가스, 석탄, 원유, 석유제품의 수입액 증가율은 각 163.8%, 106.2%, 83.9%, 50.6%에 이르렀다.

서비스수지는 3억6000만 달러 흑자로 집계됐다. 지난해 3월과 비교하면 11억 달러 적자에서 흑자로 돌아섰다.

서비스수지 가운데 운송수지 흑자규모가 1년 새 5억7000만 달러에서 15억5000만 달러로 10억 달러 가까이 늘었다. 3월 선박 컨테이너운임지수(SCFI)가 1년 전보다 74.5% 오르는 등 수출화물 운임이 높은 수준을 유지하면서 운송 수입이 같은 기간 28억8000만 달러에서 47억5000만 달러로 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해외여행이 늘면서 여행수지 적자규모(-4억7000만 달러)는 1년 전보다 1억 달러 넘게 늘었다.

올해 1분기(1∼3월) 누적 기준 경상수지 흑자는 150억6000만 달러(약 19조2391억원)로 전년 동기 대비 72억7000만 달러 감소했다. 원자재 수입 급증으로 상품수지 흑자 규모는 192억8000만 달러에서 104억 달러로 88억8000만 달러나 줄어들었다.


김현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