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NHN 1분기 영업익 155억, 전년 대비 38.2% 급감

전 분기 대비로는 37.8% 하락

사진제공=NHN사진제공=NHN




NHN(181710)의 연결기준 2022년 1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5.2%, 전 분기 대비로는 4.6% 감소한 5205억 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38.2%, 전 분기 대비 37.8% 줄어든 155억 원을 기록했다.



부문별 매출을 보면 게임 부문은 코로나19 재확산에 따른 PC방 매출 감소에도 불구하고 성수기 영향과 웹보드 게임의 선전으로 전 분기 대비 5.6% 증가한 1088억으로 나타났다. 특히, 웹보드 게임은 모바일 웹보드 게임이 서비스 이래 역대 최대 매출을 달성함에 따라 전 분기 대비 14%, 전년 동기 대비 4% 성장을 기록했다.

결제 및 광고 부문은 페이코 거래 규모 증가와 NHN한국사이버결제의 해외 거래 대금 증가가 지속됨에 따라 전년 동기 대비 15.5% 상승한 2092억원을 기록했다. 특히 페이코 포인트 플러스 실물카드 활용에 힘입은 ‘페이코 포인트’ 결제 규모가 전년 동기 대비 2.9배 성장했다. 기업복지 솔루션과 캠퍼스존, 페이코 오더도 오프라인 거래액 상승을 이끌었다.



커머스 부문은 불확실한 대외 환경과 지난 분기 광군제에 따른 높은 기저에도 불구하고, 1분기 중국 춘절 및 3월 여성의 날 이벤트 효과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35.3% 상승, 전 분기 대비로는 6.4% 감소한 1047억원을 기록했다.

관련기사



기술 부문은 공공부문의 계절적 비수기 영향과 일본 NHN테코러스의 MSP 사업 인지도 상승에 따른 사업 호조가 혼재해 전년 동기 대비 42.3% 상승, 전 분기 대비 3.7% 감소한 637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콘텐츠 부문은 NHN벅스의 드라마 OST 매출 및 NHN링크의 자체 제작 콘서트 등 신규 매출 효과와 NHN링크의 지난 분기 공연 성수기 역기저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2% 증가, 전 분기 대비로는 10.2% 감소한 470억원으로 집계됐다.

NHN은 주력 사업의 장기적인 성장과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게임과 클라우드 부문의 조직 구조 재정비를 단행했다. 지난 2월 게임 사업 강화를 위해 통합 개편된 NHN빅풋은 ‘건즈업 모바일’ 글로벌 출시를 시작으로 ‘더블에이 포커’, 글로벌 이용자를 타겟으로 하는 ‘위믹스 스포츠’와 ‘우파루 대체불가능토큰(NFT) 프로젝트’ 등의 신규 라인업을 준비하고 있다. 국내 1위 모바일 웹보드 게임 사업자를 넘어 글로벌 P&E(Play&Earn) 게임 전문 개발사로 성장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지난 4월 1일 독립 법인으로 출범한 NHN클라우드 역시 국내 공공 클라우드 전환 사업의 선도 사업자에서 기술 경쟁 우위와 AI 신사업 연계를 통해 글로벌 탑티어 클라우드 사업자로 도약하겠다는 방침이다.

협업툴 시장에서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NHN두레이와, 에듀 테크 시장 선도 기업인 NHN에듀는 최근 각각 200억 원, 320억 원의 외부 투자를 연달아 유치해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했다.

정우진 NHN 대표는 “올해는 사회적 거리두기 전면 해제로 변화된 코로나19 관련 대외 환경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연구개발 투자와 적극적인 마케팅을 집행하며 외형 성장에 집중할 계획”이라며 “NHN은 게임 사업의 P&E시장 본격 진출과 페이코의 이용자 확보 및 체질 개선, 클라우드 사업 시장 지배력 확보에 주력함으로써 글로벌 탑티어 테크 컴퍼니에 한걸음 다가설 것이다”고 강조했다.


허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