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서울시, 내분비계장애물질 알킬페놀류 조사 실시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은 환경호르몬의 일종이지만 마땅한 수질 기준이 없는 알킬페놀류에 대한 오염도 조사를 시행한다고 10일 밝혔다.



알킬페놀류는 세계자연기금(WWF)이 지정한 내분비계장애물질 중 하나다. 사람과 생물의 성장과 생식에 관여하는 호르몬의 정상적인 작용을 방해해 정자 수를 감소시키고 암수 변화를 유발할 수 있다. 이번 조사는 산업 폐수부터 하수처리장 유입·방류수, 한강과 지천 용수 등 전 영역을 대상으로 진행한다.

관련기사



서울시 관계자는 “이번 조사는 수생태계 교란 물질인 노닐페놀·옥틸페놀 등 알킬페놀류의 발생원을 파악하고 한강·지천 생태계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평가해 ‘서울형 수변감성도시’에 핵심적인 수변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 추진된다”고 말했다.

알킬페놀류는 산업용 세척제 등 다양한 분야에 쓰이는 알킬페놀에톡실레이트가 분해되면서 생성된다. 알킬페놀류는 알킬페놀에톡실레이트보다 독성이 강하고 분해가 어려워 수생 환경에서 장기간 생태계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이에 서울시는 알킬페놀류 오염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산업폐수, 하수처리장 4개소의 유입수·배출수, 한강 및 지천을 대상으로 오염도 조사를 수행할 계획이다.

서울시에는 총 3000여개의 산업폐수 배출업소가 운영되고 있다. 연구원은 조사 대상을 업종별로 고르게 선정하되 산업용 세척제의 사용 가능성이 높은 폐수는 중점 조사할 예정이다. 또 서울시 4대 하수처리장인 서남, 난지, 중랑, 탄천과 하수처리장 주변 지천 및 한강 주요 지점에서 분기별로 알킬페놀류 오염 현황을 파악할 계획이다.

신용승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장은 “이번 알킬페놀류 조사 결과에 따라 서울시민이 즐겨 찾는 지천과 한강의 오염 관리가 한층 강화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아직 규제를 받지 않는 미량 유해화학물질에 대해서도 선제적으로 검사를 강화해 건강한 지천 생태계를 조성하겠다”고 말했다.


박경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