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실세' 부총리의 힘… 8년만의 인사 훈풍에 들뜬 기재부

통계청·조달청·관세청장 등에 기재부 출신 내정

추, 취임 일성 “물가 안정 최우선…비상경제TF 발족"

"민간 중심으로 저성장 고리 끊어야" 규제혁신도 강조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우리 경제의 컨트롤타워인 기획재정부에 오랜만에 활력이 돌고 있다. '실세' 부총리로 통하는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1일 취임하면서 고위급 인사에 숨통이 트이고 있어서다. 윤석열 대통령이 문재인 전 대통령과 달리 인사권도 상당 부분 부총리와 장관들에게 위임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추 경제부총리는 취임사를 통해 “물가 안정을 비롯한 민생 안정을 최우선으로 챙기겠다”고 밝혔다.

이날 관가와 정치권 등에 따르면 용산 대통령실은 최근 기재부 1·2차관 인사를 단행한 데 이어 조만간 국세청·관세청·통계청·조달청 등 기재부 외청장을 임명할 예정이다. 눈에 띄는 대목은 국세청을 제외한 나머지 3개 청이 모두 기재부 현직 인사들로 자리를 채울 가능성이 커졌다는 점이다. 현재 관세청장에는 윤태식 기재부 세제실장이 내정된 것으로 알려졌다. 통계청장과 조달청장에도 한훈 기재부 차관보와 이종욱 기재부 기조실장이 각각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



기재부 외청장은 기재부 고위 관료들이 거쳐가는 징검다리 정도로 여겨지던 때가 있었다. 하지만 문재인 정부 들어 기재부가 당청의 하수인 격으로 위상이 낮아지면서 인사에서 배제되는 사례가 많아졌다. 실제 류근관 통계청장은 학자 출신이고 9일 퇴임한 김정우 전 조달청장도 기재부 과장까지 지내기는 했지만 2015년 조직을 떠나 기재부 몫 인사로 보긴 어렵다. 임재현 관세청장은 기재부 세제실장 출신이지만 이전 관세청장들이 3번 연속 비(非)기재부 출신 인사들로 채워지면서 조직 사기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기도 했다. 통계청장에 기재부 출신이 임명되는 것도 이명박 정부 때인 2011년(우기종 전 청장)이 마지막이었다.

관련기사



기재부 관료들은 오랜만의 인사 ‘훈풍’에 기대감을 드러내고 있다. 박근혜 정부 시절 최경환 전 부총리 때를 떠올리기도 한다. 한 과장급 관계자는 “고인물처럼 정체돼 있던 인사가 한방에 풀리면서 향후 승진 인사에서도 숨통이 트일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추 부총리는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밖으로는 우크라이나 사태, 주요국 긴축 전환 등으로 글로벌 금융 시장과 실물 경제의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있다”며 “비상 경제 대응 태스크포스를 설치해 즉시 가동하겠다”고 밝혔다. 추 부총리는 경제 활성화를 위해 민간의 역량을 최대한 활용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민간과 시장·기업 중심으로 우리 경제 역동성을 되살려 저성장의 고리를 끊어야 한다”며 “과감한 규제 혁신 등을 통해 창의적 기업 활동의 발목을 잡고 있는 족쇄를 풀고 모래주머니를 벗기겠다”고 전했다.

세종=서일범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