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바이오

‘과학방역’ 나선 중대본, 전문가위원회·빅데이터 플랫폼 구성

유치원·학교 등 실내 공기 질 관리 강화

감염 유행 상황 고려해 20일 안착기 결정

이기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총괄조정관(보건복지부 2차관)이 18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코로나19 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이기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총괄조정관(보건복지부 2차관)이 18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코로나19 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코로나19 재유행에 대비해 과학 방역체계를 마련한다.



이기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제1총괄조정관(복지부 2차관)은 18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주재한 회의에서 “전문가 중심의 독립위원회를 조속히 구성하겠다”면서 “이를 통해 전문가의 의사결정이 반영되는 거버넌스 체계를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또 현재 다양한 정보시스템에 분산돼있는 환자 정보와 진료 정보를 모아 올해 안에 ‘빅데이터 플랫폼’으로 통합·연계할 계획이다. 이 차관은 “데이터에 기반한 근거 중심 방역정책의 토대가 마련될 예정”이라며 “출범 100일 내에 과학 방역체계를 신속하게 마련하겠다”고 했다.

더불어 정부는 유치원·어린이집·학교 등 교육과 돌봄시설의 실내 공기 질 관리를 강화한다. 전국 대부분 학교와 유치원에 공기정화장치가 설치돼있으나 바이러스 제거 기능은 부족한 상황을 고려해 관련 부처 간 태스크포스(TF)를 구성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 산업통상자원부, 환경부, 질병관리청 등으로 구성된 TF는 11일부터 공기정화장치의 효과성과 안전성을 검증하고 바이러스 제거가 가능한 공기정화장치 설치를 지원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을 만들기 위해 논의하고 있다.

이 차관은 일상회복 안착기 전환 여부와 관련, “최근 감염의 유행 상황, 재유행 가능성, 해외 신종 변이 바이러스의 영향, 의료대응체계의 준비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고 있다”며 “전문가 및 관련 부처와 함께 이를 논의한 후에 이번 주 금요일(20일) 중대본을 통해 말씀드리겠다”고 했다.


왕해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