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재테크

KB국민은행, 10년 분할상환 연착륙 프로그램 가동

코로나19 만기연장·상환유예 종료 앞두고

소상공인·중소기업 충격 최소화 부심





소상공인·중소기업이 코로나19 발생 이후 밀린 대출 원금과 이자를 수월하게 갚을 수 있도록 은행들이 10년 장기 분할 상환 등의 연착륙 프로그램을 속속 내놓고 있다.

22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은행은 지난 20일부터 '코로나19 특례운용 장기분할 전환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적용 대상은 2020년 4월 이후 소상공인·중소기업 대상으로 운영된 만기연장, 이자 상환유예 등의 기업 여신(대출) 특례 지원을 한 차례 이상 받은 계좌(대출자)다.

관련기사



조건을 갖춘 대출자는 상환 방식으로 원금 균등분할 또는 원리금 균등분할 가운데 하나를 택할 수 있다.

균등분할 상환 기간은 최장 10년이며 거치 기간은 대출원금 만기 연장 대출자가 6개월, 이자 상환유예 대출자가 12개월 이내에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소상공인이 최근 2년여동안 금융지원을 통해 2억 원의 대출 원금 만기를 미뤄왔다면, 이 프로그램을 통해 길게는 6개월동안 이자만 내다가 이후 10년간 원금과 이자를 분할 방식으로 천천히 나눠 갚아도 된다는 뜻이다.

KB국민은행 관계자는 “오는 9월로 예상되는 금융지원 종료에 선제적으로 대응하자는 취지”라며 “종료 이후 상환 부담이 한꺼번에 커지는 데 따른 부실화를 막고 개별 대출자의 상황에 맞는 정상화를 지원하기 위해 업계에서 가장 긴 10년 분할상환 프로그램을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다른 대형은행도 연착륙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신한은행, 하나은행, 우리은행 등은 최장 5년 분할 상환 등의 연착륙 프로그램을 마련해 가동 중이다.


유현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