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현대케미칼, 플라스틱 순환경제 구축 본격화

폐플라스틱 열분해유 원료로 도입해

친환경 석유제품과 친환경 플라스틱 생산

지난 17일 서울시 중구에서 최수관(왼쪽) 현대케미칼 대표가 이수용 컨트롤유니온 대표로부터 ISCC PLUS 인증 액자를 받고 있다. 사진제공=현대오일뱅크지난 17일 서울시 중구에서 최수관(왼쪽) 현대케미칼 대표가 이수용 컨트롤유니온 대표로부터 ISCC PLUS 인증 액자를 받고 있다. 사진제공=현대오일뱅크




현대오일뱅크의 석유화학 계열사인 현대케미칼이 플라스틱 순환경제 구축을 위한 친환경 행보를 본격화 한다.



현대케미칼은 폐플라스틱 열분해유를 원료로 도입해 친환경 석유제품과 친환경 플라스틱 생산에 나선다고 24일 밝혔다. 폐플라스틱 열분해유는 기존에 소각하던 폐플라스틱을 다시 정유공정에 투입할 수 있어 플라스틱 순환경제의 핵심 기술로 꼽힌다.

관련기사



현대케미칼은 폐플라스틱 열분해유로 생산한 석유제품 3종(나프타·경유·항공유)과 플라스틱 원료인 석유화학제품 5종(고밀도 폴리에틸렌·저밀도폴리에틸렌·에틸렌초산비닐·폴리프로필렌·부타디엔)에 대해 지난 17일 국제 친환경 제품 인증인 ISCC PLUS를 획득했다. 국내 업체 중 인증 품목이 가장 다양하며 정유·석유화학 통합공장으로는 최초의 ISCC PLUS 인증이다.

현대케미칼은 이번 인증을 시작으로 폐플라스틱을 활용한 친환경 플라스틱 사업에 본격 착수할 계획이다. 우선 오는 6월 국내 화장품, 생활용품 업체와 함께 제품 용기에 쓰이는 친환경 플라스틱 샘플 생산을 시작하기로 했다. 향후 친환경 플라스틱을 적용한 신규 고부가 활용처를 개발하고 관련 사업도 확대할 예정이다.

현대케미칼은 현재 보유중인 정유·석유화학 공정을 활용해 연간 최대 3만톤의 친환경 플라스틱을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향후 연간 최대 10만톤의 친환경 플라스틱을 생산할 수 있도록 설비를 신설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최수관 현대케미칼 대표는 “이번 인증을 통해 플라스틱 순환경제를 구축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며 “지속적으로 친환경 사업 규모를 확장해 국내 폐플라스틱 문제를 해결하고 탄소배출량을 저감하는데 앞장 설 것”이라고 밝혔다.


김기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