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우상호, 박지현 '586 용퇴론'에 "불합리한 얘기"

"특정 세대 전체 통으로 물러나라? 정합성 떨어져"

"법사위원장 가져와야…개혁하면 넘길 수 있어"

우상호 더불어민주당 의원/서울경제DB우상호 더불어민주당 의원/서울경제DB




우상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27일 박지현 민주당 공동비상대책위원장의 ‘586(50대·80년대 학번·60년대생) 용퇴론’ 발언에 대해 “특정 세대 전체를 통으로 물러나라고 하는 것은 정합성도 떨어지고 좀 불합리한 얘기”라고 말했다.



586 세대이자 차기 총선 불출마를 선언한 우 의원은 이날 한 라디오(MBC)에 출연해 “지금까지 대한민국 정치에서 특정세대를 몽땅 드러낸 적 있냐”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정치인 개인 평가를 해서 문제가 있는 분들을 걸러내는 것은 정치권에서 당연한 자정기능”이라면서도 “그런데 특정 세대를 다 들어내는 일은 가능하지도 않다”고 평가했다. 이어 “특히 이번 선거에서는 지금 이 세대(586 세대)에 해당하는 후보자들이 많이 나가있지 않냐. 비대위 차원에서 공천을 해놓고 물러나라고 할 수는 없는 것 아니겠냐”고 반문했다.

관련기사



우 의원은 “선거 이후 당 쇄신에 관한 얘기를 할 때 박 위원장이 부적합하다고 생각하는 정치인을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서 얘기해주면 당이 그 때 논의할 수 있을 것”이라며 “선거 때는 좀 부적절한 것 같다”고 피력했다. 그러면서 “그런 식으로 하는 것은 정합성이 떨어져 선의의 피해자가 생긴다”고 말했다.

박 위원장의 586 용퇴론 제기에 대해 “우리 안에 여러 가지 뼈를 깎는 어떤 혁신 노력이 필요하다 이런 취지 아니겠냐. 저는 백번 동의한다”면서도 “선거 훨씬 전에 했거나 선거 진행되고 있으면 약속하고 선거 후에 했어야 했다. 결과적으로 분란이 돼버렸지 않냐”고 평가했다.

박 위원장이 주장하는 최강욱 민주당 의원의 징계에 대해서는 “당에서 순리에 따라 토론해서 정리하면 될 문제”라며 “선거 때 내부 논란을 많이 만드는 것은 별로 좋은 일은 아니다”라고 했다.

제21대 국회 후반기 법제사법위원장에 대해서는 “민주당이 가져와야 한다”고 강조했다. 우 의원은 “후반기에 법사위를 국민의힘 쪽에 준다는 합의가 있었지만 그 합의의 전제가 있었다”며 “법사위를 상왕이 아닌, 모든 권한을 갖고 내용까지 검사하고 심사하는 상임위가 아닌 평범한 일개 상임위로 개혁한다는 전제가 있었다”고 주장했다. 이어 “만약 그 합의를 지켜서 법사위가 검찰청, 법무부 등 기본적으로 법사위에 해당하는 산하 기관만 심사하고 그 이외의 자구 수정만 해주는 상임위가 된다면 넘겨도 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박예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