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삼성전자, 네이버 제2사옥에 5G 특화망 구축…국내 첫 '이음5G' 서비스 협업

네이버클라우드와 이음5G 서비스 협력 나서

이음5G 연결해 로봇 제어…임직원에 편의 서비스

네이버 제2사옥인 '1784'에서 자율주행 로봇이 배달 서비스를 하는 모습. 사진제공=네이버클라우드네이버 제2사옥인 '1784'에서 자율주행 로봇이 배달 서비스를 하는 모습. 사진제공=네이버클라우드




삼성전자(005930)가 네이버클라우드와 경기 성남시 분당구의 네이버 제2사옥 ‘1784’에서 국내 최초 ‘이음5G’ 서비스를 위해 협력한다고 2일 밝혔다.

5G 특화망인 ‘이음5G’는 일반 기업에서 직접 5G 망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망 서비스다.



1784는 국내 최초로 5G 특화망이 도입된 빌딩이다. 삼성전자와 네이버클라우드는 지난해 11월 5G 특화망 신청 이후 지난 3월 ‘5G 특화망·클라우드 솔루션 사업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이어 최근 삼성전자의 이음5G 전용 장비를 1784에 적용한 데 이어 무선국 개설 인허가 절차까지 마쳤다.

관련기사



이번 5G 특화망 도입을 통해 1784는 인공지능(AI), 로봇, 자율주행 등 첨단기술이 융합된 혁신 서비스를 실행하는 테스트베드(기술 작동을 시험하는 시스템) 역할을 맡게 된다.

삼성전자와 네이버클라우드는 1784에서 세계 최초로 5G 특화망과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하는 자율주행 로봇 서비스(네이버 5G 브레인리스 로봇)를 개시할 계획이다. 이음5G에 연결된 클라우드는 수십~수백 대의 사내 로봇들의 두뇌 역할을 하면서 자율주행 경로를 초저지연·실시간으로 제어한다. 이를 기반으로 개별 로봇은 1784 내 임직원들에게 택배, 커피 배달 등 편의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삼성전자는 대용량 데이터 업로드가 요구되는 기업에 특화해 이음5G 전용 장비의 업로드 주파수 비중을 일반 통신망(약 20%) 대비 두 배 수준으로 확대 할당해 한 번에 많은 수의 로봇이 데이터 업로드를 처리할 수 있게 했다.

삼성전자와 네이버클라우드는 이음5G와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하는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하고 활용 사례를 발굴해 국내·외 5G 특화망 사업 활성화·생태계 확장을 위해 상호 협력할 계획이다. 내년 세종시에 구축 예정인 ‘각 세종’ 신규 데이터센터에서도 협력을 이어가기로 했다.

장용 삼성전자 네트워크사업부 B2B그룹 상무는 “네이버와의 이번 협력은 국내 이음5G 1호라는 점을 넘어서 5G, 로봇, 클라우드 등 양사의 미래 기술에 대한 비전과 기술력이 결합되어 다양한 시너지를 창출한 첫 사례”라며 “앞으로도 국내외 5G 특화망 생태계를 구축해 교통, 병원, 학교, 공장, SOC 시설 등 다양한 분야로의 5G 특화망 비즈니스 사례를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진동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