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단독]해외수주 자금 지원…'건설은행' 설립한다

■ 정부 '건설금융 전문기관' 검토

건설업 '고위험'…자금조달 쉽잖아

대출 10년새 55조 → 47조로 줄어

저금리 지원…경쟁력 획기적 개선






정부가 건설 업종의 경쟁력을 획기적으로 끌어올리기 위해 건설금융 전문 기관인 ‘건설은행(가칭)’을 설립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이를 통해 자금 조달이 어려운 건설 업체에 활기를 불어넣어 건설 산업의 혁신을 유도하는 한편 해외 진출 시 반드시 필요한 건설금융을 지원해 수주 경쟁력을 높이겠다는 의도다.

관련기사



2일 국토교통부 등 주요 부처에 따르면 정부는 건설 분야를 지원하는 특수은행인 건설은행을 만드는 방안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국토부는 이를 위해 관련 용역을 발주했고 한일회계법인이 최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보고서를 마무리했다. 정부 관계자는 “건설금융 분야에서 혁신이 가능하면 건설 산업의 선진화도 앞당길 수 있는 만큼 전문은행 설립 방안을 살펴보고 있다”며 “현재 금융시장에서 건설 업종에 대한 대출 비중이 낮아 (건설업의) 경쟁력 제고가 어려운 만큼 다양한 각도에서 (건설은행 설립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건설업은 높은 외주 비율 등으로 대표적인 고위험 산업으로 통한다. 당연히 은행을 통한 자금 확보가 어렵다. 용케 차입금을 조달하더라도 금리가 높고 중소 건설사는 대부분 고금리의 프로젝트파이낸싱(PF)으로 자금을 조달한다. 실제로 우리 경제가 성장하면서 전체 산업의 대출금 총액은 2010년 721조 원에서 2020년 1393조 원으로 2배가량 늘었지만 같은 기간 건설업 대출은 55조 원에서 47조 원으로 쪼그라들었다. 건설은행이 설립되면 건설사업자들에 민간 대비 저금리로 사업 자금을 확보하는 길이 열릴 것으로 전망된다. 두성규 건설산업연구원 선임연구원은 “열악한 자금력 탓에 건설 업체들이 대내외 환경 변화에 취약했다”며 “전문 금융기관이 생긴다면 건설사 차원에서도 해외 수주나 산업 혁신 등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세종=권혁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