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野, 선거패배 후폭풍에…친문 vs 친명 헤게모니전 본격화

민주당 지도부 총사퇴…'명·길 책임론' 부상 세력교체 주장

2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당대표 회의실에서 더불어민주당 윤호중 박지현 공동비상대책위원장이 총사퇴 의사를 밝히는 입장문을 발표하려 하고있다. 연합뉴스2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당대표 회의실에서 더불어민주당 윤호중 박지현 공동비상대책위원장이 총사퇴 의사를 밝히는 입장문을 발표하려 하고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지도부가 2일 6·1 지방선거 참패의 책임을 지고 물러나면서 당분간 리더십 공백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윤호중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지방선거 결과에 책임을 지고 지도부 전원이 사퇴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어 "대선과 지선에 대한 평가와 전당대회를 준비할 당의 새 지도부는 의원총회와 당무위원회·중앙위원회를 통해 구성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난 대선 패배 직후에는 윤호중 당시 원내대표가 비대위원장을 맡았지만, 박홍근 원내대표는 차기 지도부가 선출되기 전까지 직무대행 역할만을 하기로 했다.

관련기사



새 지도부 선출과 관련해 8월로 예정된 전당대회를 앞당겨 치르자는 주장이 두드러지지만, 대선과 지방선거 패인부터 따지고 넘어가자는 의견도 있어 진통이 예상된다. 무엇보다 지방선거 책임론이 불거지면서 리더십 진공 상태와 맞물려 계파 갈등이 본격화하는 분위기다.

친문(친문재인) 의원들은 대선 패배 두 달 만에 이재명 상임고문과 송영길 전 대표가 나란히 등판한 것이 '패착'이었다고 말하며 소위 '명길 책임론'을 강조했다. 문재인 정부 마지막 행정안전부 장관이었던 전해철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에서 "선거 패배에 책임 있는 분들이 필요에 따라 원칙과 정치적 도의를 허물었다"며 "누구도 납득하지 못할 변명과 이유로 자기방어와 명분을 만드는 데 집중해 국민들이 기대하는 민주당의 모습과 멀어지게 만들었다"고 지적했다. 홍영표 의원도 "사욕과 선동으로 당을 사당화한 정치의 참담한 패배"라며 "대선 이후 '졌지만 잘 싸웠다'는 해괴한 평가 속에 오만과 착각이 당에 유령처럼 떠돌았다"고 비판했다. 신동근 의원은 "숱한 우려와 반대에도 '당의 요구'라고 포장해 송영길과 이재명을 '품앗이 공천'했고, 지방선거를 '이재명 살리기' 프레임으로 만들었다"면서 "이재명 총괄선대위원장과 송영길 서울시장 후보는 책임을 져야 한다"고 했다. 친문 진영의 지원에도 대선 경선에서 패했던 이낙연 전 대표도 "민주당은 패배를 인정하는 대신 '졌지만 잘 싸웠다'고 자찬하며 패인 평가를 밀쳐뒀다"며 "더 정확히 말하면 정략적으로 호도하고 왜곡했다"며 동조했다.

반면 친이재명계에서는 이번 지방선거 완패를 명분 삼아 당내 세력 교체를 하려는 모습이 엿보인다. 원내에 입성한 이 상임고문을 중심으로 당내 헤게모니가 재구성돼야 한다는 것인데, 이는 당권 도전을 염두에 둔 이 상임고문의 입지를 미리 마련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이재명계 수장으로 불리는 정성호 의원은 "국민들께서 다시 매서운 회초리를 내려치면서도 가느다란 희망은 남겨 놓았다"며 "국민의 호된 경고를 받고도 민주당이 기득권 유지에 안주한다면 내일은 없다"고 전했다.

차기 당권을 둘러싼 친문계와 친명계의 갈등이 고조되는 가운데 계파색이 옅은 의원들을 중심으로 제3지대 원로급 인사가 당을 이끌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당의 '대수술'이 필요한 상황에서 당권 싸움으로 당이 둘로 갈라지는 상황은 막아야 한다는 것이다. 원내 지도부 관계자는 "이재명 고문이 전당대회에 등판하려는 순간 친명계와 친문계의 전쟁이 시작될 것"이라며 "차라리 중립지대 원로급 인사가 지도부를 이끄는 게 나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비대위원인 조응천 의원은 "문재인 정부 임기 종료와 함께 각료들이 대거 당에 돌아왔다. 그들을 중심으로 (친문) 세력이 뭉칠 것"이라며 "굉장한 내상을 입은 이재명 고문이 깔끔하게 전당대회에 출마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며 우려했다.


김후인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