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라이프

대장암 위험 신호…'이 증상' 가볍게 보면 큰일 난다

점액 동반한 대변·설사 지속되는 '궤양성 대장염'

10년간 5배 증가…악화하면 대장암으로 이어져

서구형 식습관 원인…육류 대신 생선 섭취 권고

궤양성 대장염./사진제공 = 서울대병원궤양성 대장염./사진제공 = 서울대병원




대장에 염증이 생겨 설사와 혈변이 잦아지는 ‘궤양성 대장염’환자가 10년 새 5배가량 증가했다,



3일 고성준 서울대병원 소화기내과 교수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국내 궤양성 대장염 환자 수가 2008년 9657명에서 2018년 4만6837명으로 10년 새 4.85배로 증가했다고 전했다.

고 교수는 이 증가세면 2021년 기준으로 환자 수가 6만 명을 넘었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궤양성 대장염은 대장을 침범하는 원인 불명의 만성 염증성 질환이다. 설사와 혈변이 주 증상으로 생명에 큰 지장은 없지만, 악화하면 대장암으로 이어져 치료가 필요하다.

관련기사



고 교수는 "염증이 퍼진 범위와 중증도는 환자마다 다르다"면서 "원래는 20~30대에게 주로 발병했지만, 최근에는 60세 이상 고령층 환자가 증가하고 있는 게 주요 특징"이라고 전했다. 그는 비교적 짧은 기간에 환자가 증가한 데는 환경적 요인이 가장 크다고 보고 있다. 서구화된 식습관이나 항생제·소염진통제 등의 빈번한 사용이 장내 세균에 영향을 줘 질병 발생을 일으킨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4주 이상의 설사, 혈변과 점액을 동반한 대변, 설사가 있으면서 가족 중 염증성 장질환 환자가 있는 경우 궤양성 대장염이 의심돼 대장내시경 받는 것을 권한다.

고 교수는 "궤양성 대장염은 유병 기간이 길수록 대장암 위험도 함께 증가하므로 증상이 없어도 꼭 치료받아야 한다"면서 "임상 경험으로 볼 때 30년간 이 질환이 있는 경우 대장암 발병률은 9.5%로 높아진다"고 전했다.

궤양성 대장염으로 진단되면 꾸준히 약물로 치료하는 게 가장 효과적이다. 또 장내 세균 분포를 변화시키거나 세균이 장벽으로 침투하는 투과성을 상승시킬 수 있는 항생제나 소염진통제의 장기적인 사용은 금한다

고 교수는 "궤양성 대장염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되는 뚜렷한 음식은 없다"면서 "다만 염증을 악화시킬 수 있는 염분과 당분이 많은 음식을 피하고, 소·돼지와 같은 육류보다는 생선 등으로 단백질을 섭취하는 게 좋다"고 권했다

김형민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