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북핵 실험 임박에…美 "신속 대응" 韓 "추가 제재"

[韓美 외교차관 대응방안 논의]

EDSCG 재가동 등 협력키로

조현동(오른쪽) 외교부 1차관과 웬디 셔먼 미 국무부 부장관이 7일 서울 종로구 외교부에서 회담을 마친 후 열린 도어스테핑에서 취재진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연합뉴스조현동(오른쪽) 외교부 1차관과 웬디 셔먼 미 국무부 부장관이 7일 서울 종로구 외교부에서 회담을 마친 후 열린 도어스테핑에서 취재진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연합뉴스




미 국무부가 “북한의 7차 핵실험이 임박했다”고 경고에 나선 가운데 한미 외교차관이 7일 북핵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웬디 셔먼 미 국무부 부장관은 북핵 위협과 관련해 “신속하고 단호하게 대응하겠다”고 밝혔고 조현동 외교부 1차관은 “북한에 대한 추가 제재를 검토할 수밖에 없다”고 경고했다.



조 차관과 셔먼 부장관은 이날 서울 외교부 청사에서 한미 외교차관 회담을 진행한 뒤 북핵과 관련해 단호한 대응 태세를 강조했다. 셔먼 부장관은 북한의 핵실험 가능성에 대해 “세계 안보를 매우 불안정하게 하는 일이며 전 세계가 강력하고 분명한 방식으로 대응할 것”이라며 “우리는 (북핵 위협에) 준비돼 있다”고 언급했다.

관련기사



조 차관은 북한에 대해 추가 제재를 검토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그는 “북한이 핵실험을 실시한다면 우리는 국제사회와 공조해 북한에 대한 추가 제재를 검토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한미 방위 태세 차원에서의 추가적 조치도 고려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한미 외교차관은 이날 양국 간 고위급 확장억제전략협의체(EDSCG) 재가동도 논의했다. 조 차관은 “지난달 한미 정상이 합의한 글로벌 포괄적 전략 동맹 비전을 본격적으로 이행하기 위해 양국 간 각급에서 전략적 소통을 활성화해나가기로 했다”며 “장·차관급 전략 대화는 물론 ‘외교안보 2+2’ 장관급 대화, 경제 분야 협의체와 함께 EDSCG 재가동 등이 포함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미 간 포괄적 전략 동맹 복원과 한미일 공조 강화도 거론했다. 셔먼 부장관은 “한미 동맹은 우리가 공유하는 가치, 민주주의와 자유, 주권 존중, 인권 등에 뿌리를 두고 있다”며 “한미 동맹이 오늘날만큼 강력했던 적은 없었다”고 언급했다. 조 차관 역시 “한미일 공조의 중요성과 유용성에 대해서도 공감했다”며 “이런 공감을 바탕으로 한미일 외교차관 협의회를 통해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협력 방안을 논의할 계획”이라고 했다.

한편 미 국무부는 6일(현지 시간) 북한이 조만간 7차 핵실험에 나설 가능성에 우려를 표했다. 네드 프라이스 미 국무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우리는 북한이 조만간 7차 핵실험을 진행할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며 “이것은 긴급 상황이며 우리는 여기에 대비돼 있다고 확언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앞서 라파엘 그로시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무총장이 이사회에서 “북한 풍계리 핵실험장의 갱도 중 하나가 재개방된 징후를 관찰했다”며 북한의 핵실험이 임박했음을 경고했다.


강동효 기자·워싱턴=윤홍우 특파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