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자동차부품업체 "화물연대 부품공급 중단은 생존권 위협" 호소

부품생산 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 "단체행동 즉시 중단" 호소

자동차산업연합회 등 10개 기관 "법과 원칙에 따른 신속한 조치" 촉구

지난 8일 현대자동차 울산공장 명촌정문 앞에서 화물연대 조합원들이 시위를 하고 있다. 울산=장지승기자지난 8일 현대자동차 울산공장 명촌정문 앞에서 화물연대 조합원들이 시위를 하고 있다. 울산=장지승기자




“자동차부품업체의 부품공급을 막고 자동차 생산에 차질을 초래하게 하는 것은 자동부품업체들의 생존권을 위협하는 것입니다”

자동차부품 생산업체 단체인 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 6월 9일 호소문을 통해 화물연대 파업과 물류방해에 대해 우려를 표명하고, 자동차부품업체의 생존권을 위협하는 단체행동을 즉시 중단해 줄 것을 호소했다.



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은 호소문에서 “화물연대가 요구하는 안전운임제 일몰제 폐지와 품목 확대, 운송료 인상 등의 요구사항은 자동차업계 물류를 담당하는 화물차주와는 전혀 관련이 없다”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른 업종의 이익을 위해 자동차 물류 종사자들이 피해를 입고 이로 인해 자동차부품업계가 돌이킬 수 없는 피해를 입고 있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이어 조합은 “절박한 생존의 상황에 내몰린 부품업계 종사자들을 위해서도 누구도 이해하지 못하는 운송 중단을 화물연대는 즉각 철회하길 간곡히 호소한다”고 요청했다.

이에 앞서 자동차산업연합회와 르노코리아 협신회 등 10개 기관도 “자신들의 목적을 관철하기 위해 아무런 상관도 없는 자동차산업을 인질삼아 파업을 벌인 화물연대를 규탄하고, 사법당국의 법과 원칙에 따른 신속한 조치를 촉구한다”는 입장문을 발표했다.

자동차부품업체들의 경우 1차 협력업체만 하더라도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약 60%(49개사)가 영업이익이 감소했고, 적자업체도 약 30% 24개사에 이른다.

자동차산업연합회 등 10개 기관은 “조립산업 특성으로 인해 한 가지 부품이라도 물류가 원활하지 않으면 전체 자동차 산업의 가동이 중단될 수 있다는 약점을 악용하는 것에 대해서는 분노할 수 밖에 없다”며 강경한 입장을 드러냈다.

이들은 화물연대에 대해선 물류방해 행동이나 기도를 즉각 중단할 것을 요청했으며, 사법당국엔 불법행위에 대해서는 원칙에 따라 엄격한 법 집행을 신속히 해줄 것을 요청했다.


울산=장지승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