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IB&Deal

[시그널] 연일 주가 급등에도 활짝 못 웃는 청담글로벌

수요예측 부진에 공모가 하단 아래 청담글로벌

상장 이후 공모가 대비 주가 100% 올라

주가 폭등에 '착한 공모주' 대열 합류했지만

공모 금액 600억→300억 감소는 아쉬울듯

최석주 청담글로벌 대표가 지난 3일 한국거래소에서 열린 상장 기념시에 참석해 북을 치고 있다.최석주 청담글로벌 대표가 지난 3일 한국거래소에서 열린 상장 기념시에 참석해 북을 치고 있다.




청담글로벌(362320)의 주가가 지난 3일 증권시장 입성 이후 폭등하고 있다. 공모가 대비 100% 이상 주가가 오르며, 공모주 투자자들은 함박웃음을 띄고 있다. 회사 측도 주가 상승이 나쁠 이유는 없다. 다만, 수요예측 부진에 공모 규모를 300억 원 가량 줄여 증시에 입성한 점은 두고두고 아쉬움으로 남을 것으로 보인다.

12일 한국 거래소에 따르면 청담글로벌의 지난 10일 주가는 1만 3350원으로 마감됐다. 지난 3일 공모가 6000원으로 증시에 입성한 이후 주가가 100% 이상 오른 것이다. 업계는 청담글로벌의 최대 매출처인 중국 징동닷컴의 창립일 행사와 11월 광군제 영향으로 보고 있다. 또한 최근 중국의 도시 봉쇄 해제 등도 호재로 평가된다.



이 같은 청담글로벌의 주가 추이는 불과 한 달전만 하더라도 예상하기 어려웠다. 지난달 17~18일 수요예측 당시 기관 투자가들의 낮은 평가로 공모가가 희망 범위 하단(8400원) 아래인 6000원으로 결정된 바 있기 때문이다. 당시 수요예측 경쟁률은 24.79 대 1이라는 낮은 수치로 집계되며 청담글로벌은 공모가를 낮추고 구주 매출을 포기하는 승부수를 던진 끝에 상장할 수 있었다.

관련기사



당초 청담글로벌은 634만 1686주를 8400~ 9600원에 공모할 계획이었다. 이 중에는 구주 매출 52만 8474주도 포함돼 있었다. 만약 공모가가 희망 범위 상단인 9600원으로 확정됐다면 공모금액은 609억 원에 달했고, 최대주주인 최석주 대표는 약 51억 원의 뭉칫돈을 손에 쥘 수 있었다. 하지만 낮은 수요예측 경쟁률에 공모가를 6000원으로, 공모 주식 수를 507만 3349주로 줄였고 최 대표는 구주 매출을 포기했다. 공모 금액이 순식간에 304억 원으로 반토막이 난 셈이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수요예측 일정이 한 달만 늦었더라도 공모금액이 300억 원 이상 늘었을 것이란 아쉬움이 나온다. 당초 제시한 희망 범위 상단 9600원 대비 주가가 40% 오른 만큼 공모가를 충분히 희망 범위 상단에서 확정할 수 있었다는 아쉬움이다.

다만 역설적으로 청담글로벌의 주가 상승은 수요예측 부진 덕이라는 분석도 가능하다. 당초 공모 계획 상 청담글로벌의 상장 직후 전체 주식 수 대비 유통 가능 주식 비율은 41.35%였지만, 2대주주인 XU MEIXING이 심상치 않은 시장 분위기에 1년 의무 보유를 약속했고, 공모 주식 수를 대폭 줄이면서 24.46%까지 유통 비율이 줄었다. 공모주들은 상장 직후 회사의 실적 뿐 아니라 유통 주식 수 등에 따라서도 주가가 요동치는 경향이 있다.

한 투자은행(IB) 관계자는 “청담글로벌은 상장 추진 당시부터 수요예측 결과가 좋지 않더라도 증시에 입성하겠다는 입장을 고수했는데, 결과적으로 좋은 결과가 됐다”며 “추후 주가 추이가 다시 꺾일 가능성도 있지만, 수요예측 시기가 한 달만 늦었더라면 공모 금액이 늘었을 것이란 아쉬움은 남는 케이스”라고 말했다.


김민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