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삼국시대 가야인 게놈 분석…외모상 현대 한국인과 상당히 닮아

UNIST, 국립박물관 보관 가야지역 유골 분석해 다양성, 생김새, 유전적 변화 과정 등 연구

한국인 뿌리 찾는 게놈데이터 마련 의의·내륙 게놈도 분석해야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복원된 8명의 삼국시대 한국인 게놈 기반 얼굴 몽타주 예측 결과. 그림=UNIST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복원된 8명의 삼국시대 한국인 게놈 기반 얼굴 몽타주 예측 결과. 그림=UNIST




삼국시대 가야인의 게놈을 최초로 분석한 연구 결과가 나왔다. 특히 게놈 정보를 활용한 몽타주 예측 결과 삼국시대 한반도인은 외모상 현대 한국인과 상당히 닮았던 것으로 추정됐다.



유니스트(UNIST·울산과학기술원)에 따르면 삼국시대 한반도인의 게놈을 최초로 분석한 결과가 국제학술지인 커런트 바이올로지(Current Biology)에 현지시각 21일자로 게재됐다.

분석에 따르면 고대 한국인은 큰 틀에서 최소 2개의 유전자 정보 제공 그룹이 있었으며, 삼국시대부터 지금까지 유전적으로 높은 연속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게놈 정보를 활용한 몽타주 예측 결과 삼국시대 한반도인은 외모상 현대 한국인과 상당히 닮았던 것으로 추정됐다.

연구팀은 “현대 한국인의 정체성이 확립된 것으로 추정되는 삼국시대 고대인의 게놈을 최초로 분석해 빅 데이터를 마련한 연구로, 한국인의 기원과 단일화 과정을 면밀히 살필 수 있게 됐다”라고 의의를 전했다.



이번 연구는 유니스트게놈센터, 국립중앙박물관, 국립김해박물관, 서울대학교, 게놈연구재단, 오스트리아 비엔나대학, 게놈 관련 기업인 클리노믹스가 공동으로 수행했다.

관련기사



분석에 사용된 유골은 서기 300~500년 가야지역의 무덤 주인과 순장자들의 것으로, 김해 대성동 고분군과 유하리 패총 두 곳에서 출토돼 국립박물관에 보관돼 있었다.

총 22명의 고대인에서 나온 27개의 뼈와 치아샘플로부터 DNA를 추출한 뒤 염기서열정보를 게놈 해독기로 읽어서 해독했으며, 이 중 8명의 고품질 게놈 데이터를 다양한 생정보학 프로그램을 통해 후속 분석했다.

분석결과 8명 중 6명은 현대 한국인, 고훈시대 일본인, 신석기시대 한국인과 유전적으로 가까웠다. 나머지 2명의 게놈은 큰 틀에선 한국계이지만, 현대 일본인, 선사시대 조몬계 일본인과 상대적으로 더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과거 한반도 인구집단의 다양성이 지금보다 더 컸고, 큰 틀에서 최소 2개의 유전자 정보 제공 그룹이 있었음을 말한다.

또 외형 관련 160개의 유전자 마커를 분석해 삼국시대 가야인도 현대 한국인의 외형적 특성을 지녔으며, 삼국시대부터 지금까지 한반도인의 유전적 연속성이 매우 크다는 것을 확인했다. 동아시아인의 특징인 건조한 귀지와 몸 냄새가 적은 유전자를 삼국시대인들도 가지고 있었고, 대부분 굵은 직모와 갈색 눈, 그리고 검은 머리카락을 가지고 있을 것으로 예측됐다.

게놈 정보를 활용해 인공지능으로 몽타주를 그려본 결과 삼국시대인들이 현대 한국인과 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반도에서 수천 년간 형질적으로도 큰 변화가 없었음을 뜻한다.

연구에 참여한 박종화 UNIST 교수는 “현재까지 나온 한국인 고대 게놈은 주로 남동지역에 분포하고 있다는 한계가 있어 현대와 고대 한국인의 이동과 혼합에 대한 전반적인 그림을 표현하려면 한반도 내륙, 다양한 시기의 고대 게놈을 추가 분석할 필요가 있다”라고 설명했다.

삼국시대 한국인과 선사시대, 현대 아시아인의 유전적 구성 비교한 유전적 혼합비율 그래프. X 축의 파란색과 빨간색의 이름들이 8명의 삼국시대 게놈들이다. 이들 삼국시대 가야인들에겐 지금의 중국인, 일본인, 한국인보다, 일본계 조몬인의 유전적 요소(녹색계열)가 상대적으로 더 많다. 조몬계로 불리는 선사시대 종족이 한반도에도 있었다고 이해할 수 있다. 그래프=UNIST삼국시대 한국인과 선사시대, 현대 아시아인의 유전적 구성 비교한 유전적 혼합비율 그래프. X 축의 파란색과 빨간색의 이름들이 8명의 삼국시대 게놈들이다. 이들 삼국시대 가야인들에겐 지금의 중국인, 일본인, 한국인보다, 일본계 조몬인의 유전적 요소(녹색계열)가 상대적으로 더 많다. 조몬계로 불리는 선사시대 종족이 한반도에도 있었다고 이해할 수 있다. 그래프=UNIST


삼국시대 가야지역(김해) 대성동과 유하리 패총 한국인 인골 발견 장소. 유하리 패총은 5살 안팎의 어린 여자아이 무덤이다. 자료=UNIST삼국시대 가야지역(김해) 대성동과 유하리 패총 한국인 인골 발견 장소. 유하리 패총은 5살 안팎의 어린 여자아이 무덤이다. 자료=UNIST


울산=장지승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