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용인 클러스터 내달 14일 첫삽…尹 '반도체 종합정책' 발표할 듯

SK하이닉스 '차세대 생산 기지'

120조원 투자해 조성 본격화

정부, 인재 확보·인허가 완화 등

포괄적인 산업 지원 계획 준비

SK하이닉스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의 조감도.SK하이닉스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의 조감도.




SK하이닉스(000660)의 차세대 메모리반도체 생산 기지가 될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가 다음 달 착공식을 갖는다. 이 자리에는 윤석열 대통령도 직접 참석해 정부의 반도체 종합 지원 전략을 발표할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2019년 사업 계획을 발표하고도 지지부진했던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 사업이 새 정부 들어 탄력을 받는 모양새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정부와 경기도, 용인시, SK하이닉스 등은 다음달 14일 경기 용인 원삼면에서 반도체 클러스터 착공식을 열기로 최근 확정했다. 이 행사에는 윤 대통령을 비롯해 김동연 경기도지사 당선인, 최태원 SK그룹 회장 등 정·재계 주요 인사들이 두루 참석할 예정인 것으로 전해졌다.





용인 클러스터는 산업통상자원부 주도로 2019년 2월부터 계획한 사업이다. 용인 원삼면 일원 415만㎡ 규모의 땅에 첨단 반도체 공장 단지를 세우는 내용이 핵심이다. SK하이닉스는 이곳에 120조 원을 들여 메모리 반도체 생산 공장(팹) 4곳을 건설할 계획이다. 공장 주변에는 소재·부품·장비(소부장) 협력사 50여 곳도 둥지를 튼다. 이를 통해 일자리 3만 1000개 창출, 인구 5000여 명 유입, 513조 원의 생산 효과, 188조 원의 부가가치 유발 효과 등이 예상된다.

관련기사



이 클러스터 사업에는 수도권 거점을 기반으로 국내외 우수 인재를 유치한다는 계획도 있다. 경기 이천·기흥·화성·평택, 충북 청주 등 기존 반도체 사업장과 가까운 만큼 여러 시너지 효과를 누릴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지방자치단체 인·허가와 토지보상 지연 등으로 지연됐던 용인 클러스터 사업은 정부 교체기인 지난 4월 용인일반산업단지가 착공계를 내면서 3년 만에 본 궤도에 올랐다. 가장 큰 난관이었던 토지 보상 작업도 어느 정도 완료돼 지역 별로 기초공사를 진행하고 있다.
정부는 나아가 용인 클러스터 착공 현장에서 국가 반도체 산업 청사진을 담은 ‘반도체 종합 지원 전략’도 함께 발표한다. 이를 통해 국가 차원의 반도체 산업 지원 의지를 다지고 기업 투자에 힘을 실어주겠다는 구상이다.

세부적으로는 인재 확보와 인·허가 기준 완화, 세제 혜택 등 포괄적인 지원 계획이 전략에 담길 것으로 예상된다. 소재·부품·장비 업체 등 반도체 생태계 전반을 육성하기 위한 방안도 포함할 것으로 보인다. 정부 관계자는 “정부가 착공식에 맞춰 ‘지원은 걱정 말고 사업 경쟁력 확보에 주력하라’는 메시지를 던지는 것”이라며 “지원 계획에 포함할 내용을 확정하기 위해 막바지 작업 중”이라고 말했다.

반도체 업계에서는 이번 착공식을 앞두고 ‘반도체 강국’ 계획을 국가 과제로 추진하는 새 정부에 큰 기대를 거는 분위기다. 실제로 윤 대통령은 앞서 지난 7일 국무회의를 열고 “반도체는 국가안보 자산이자 우리 산업의 핵심이자 전체 수출액의 20%를 차지하는 우리 경제의 근간”이라고 강조했다. 삼성전자(005930), SK하이닉스 등 일부 대기업만 고군분투하는 상황을 해소하고 민관이 합심해 산업을 육성해야 한다는 의미의 발언이었다.

용인 클러스터를 반도체 생산의 새 전진기지로 삼게 된 SK하이닉스의 시장 경쟁력도 한층 강화될 전망이다. SK그룹은 향후 5년 간 반도체 분야에만 142조 원을 투자하겠다고 지난달 발표한 상태다. 이는 SK그룹의 5년 투자액인 247조 원의 절반이 넘는 수준이다. 이중 상당 부분은 용인 클러스터 내 반도체 팹 건설 관련으로 추정된다. 생산 라인이 완공되면 매달 최대 80만 장의 웨이퍼를 생산할 수 있게 된다.

박재근 한국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 회장은 “용인 클러스터는 SK하이닉스의 매출을 1.8배 이상 늘릴 수 있는 핵심 기지”라며 “윤 대통령이 반도체 지원 전략 발표를 통해 세제 혜택, 인력 양성, 용인 지역 교통 기반 확충에도 힘 쓰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진동영 기자·강해령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