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4년 9개월만에 '한미일' 정상회담…한일 정상도 3번 만난다

[尹, 29~30일 나토회의 참석]

소원해진 3국 안보체제 회복

기시다와는 약식회담 가능성

한일관계 복원 계기 마련 기대

10여개국과 양자회담도 예정

원전수출·반도체 협력 등 논의

윤석열(왼쪽)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연합뉴스윤석열(왼쪽)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참가하는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정상회의에서 한미일 정상회담과 한일 약식 회담이 추진된다. 윤 대통령이 첫 국제 무대에서 소원해진 한미일 안보 체제의 회복은 물론 최악의 국면에 있던 한일 관계를 복원할 계기를 마련할 것으로 보인다. 윤 대통령은 또 약 10개국과의 정상회담을 통해 원자력발전 수출과 반도체 협력 등 경제안보 협력 체제를 구축할 것으로 전망된다.



김성한 국가안보실장은 22일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윤 대통령이 29~30일(현지 시간)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열리는 나토 정상회의에 참석한다고 밝혔다.

김 실장은 “윤 대통령의 참석은 한국을 비롯한 일본·호주·뉴질랜드까지 일명 아시아태평양 파트너 4개국 초청에 따른 것”이라고 말했다. 또 이번 나토 정상회의 참석의 의미를 △자유민주주의에 기반한 가치 연대 강화 △포괄적 안보 기반 구축 △신흥 안보에 대한 효과적 대응 모색 등으로 설명했다.

김 실장은 “윤 대통령은 우크라이나 사태 등 예측 불가능한 국제 정세 속에서 나토 동맹국들과 함께 포괄적 안보 네트워크를 구축할 것”이라며 “집단 안보가 아닌 포괄 협력을 나토와 도모한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도 글로벌 리더 국가로서 역할을 한다는 차원에서 이미 공여된 지원 외에 우크라이나에 대한 인도적 지원 추가 공여를 발표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우리 정부는 안보 공조 활동을 위해 나토 본부가 있는 벨기에 브뤼셀에 주나토 대표부를 신설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윤 대통령의 첫 다자 외교 데뷔 무대인 이번 나토 정상회의는 유럽 국가와의 안보 협력 못지않게 한미일 정상의 회담이 성사될지가 관건이었다.

한미일 정상의 만남은 문재인 정부 초기인 2017년 9월 유엔총회 이후 이뤄지지 않았다. 문재인 정부가 동북아에서 미중 사이의 ‘균형자’ 역할을 자처했고 북핵 문제 역시 직접 운전대를 잡고 일본을 배제하며 한미일 공조에 큰 균열이 갔다. 여기에 한일은 강제징용 기업 배상 문제와 위안부 합의 파기 이슈까지 얽히며 서로 무역 보복에 나서는 경제 분쟁 상황까지 갔다. 문재인 전 대통령은 한일 관계를 복원하기 위해 지난해 7월 도쿄 올림픽을 전후해 정상회담을 추진했지만 이마저도 불발됐다.

윤 대통령은 이번 나토 정상회의에서 한미일·한일 관계를 한 번에 회복하는 계기를 마련할 것으로 보인다. 우선 한미일 정상회담의 개최가 유력해졌다. 한미일 정상이 4년 9개월 만에 공식 회담에 나서는 것이다. 대통령실 핵심 관계자는 “나토 정상회의의 핵심 키워드는 안보에 맞춰져 있고 한미일 정상회담도 (성사된다면) 안보 협력에 초점이 모아질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나아가 안보 협력의 최우선 과제는 북한 문제라고 못 박았다. 이 관계자는 “(안보 협력의) 주된 타깃은 북한·북핵 문제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의 단독 회담도 조율되고 있다. 방식은 공식 정상회담이 아닌 풀어사이드(pull-aside) 방식의 약식 회담이 유력하다. 지난해 6월 문 전 대통령과 스가 요시히데 전 일본 총리는 영국 콘월에서 열린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서 약식 회담을 추진했지만 이뤄지지 않았고 대면 인사 등만 했다. 한미일 정상회담을 계기로 안보 협력 체제가 복원되는 분위기에서 윤 대통령과 기시다 총리의 약식 회담이 성사되면 양국 관계가 회복되는 반환점을 맞을 수도 있다.

한일 정상은 한미일 정상회담, 한국·일본·호주·뉴질랜드 4개국 회담 등 적어도 세 차례 이상 마주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대통령실은 양국 관계의 정상화를 의미하는 공식 정상회담 개최 가능성에는 선을 그었다. 관계자는 “현재로서는 전혀 예측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한편 윤 대통령은 이번 나토 정상회의에서 10여 개국과의 정상회담을 통해 경제안보 협력에도 나선다. 관계자는 “원전 수출은 체코·폴란드·네덜란드, 대규모 첨단 미래 방위 사업 수출은 폴란드, 반도체 기술 협력은 네덜란드, 차세대 배터리 등 신흥 기술 협력은 캐나다, 신재생에너지 등은 덴마크 등과 회담 준비가 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구경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