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與 "밥상물가 매주 점검…농축산물 할인쿠폰 확대 추진"

14개 농축산품 수급·가격동향 매주 발표

'저소득층 겨냥' 농식품 바우처 확대 협의

의제매입세액 공제율 확대 필요성 언급

22일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연합뉴스22일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이 주요 농식품 14개 품목의 수급과 가격동향을 매주 점검 하겠다고 24일 밝혔다. 농축산물을 20% 싸게 살 수 있는 쿠폰 발행을 확대해 장바구니 부담을 줄여주는 방안도 추진한다.

국민의힘 물가 및 민생안정특별위원회는 이날 서울 송파구의 가락농수산물종합도매시장을 찾아 물가 상황을 점검하고 현장에서 대책회의를 열었다.



류성걸 물가특위 위원장은 이날 회의 뒤 기자들과 만나 “밥상물가 14개 품목 가격동향을 매주 특별 점검하고 이를 발표하는 방안을 농림축산식품부에 요구했다”며 “농축산식품 비축물량을 확보해 적기에 방출해 달라고도 요청했다”고 말했다. 14개 품목은 무, 배추, 돼지고기, 소고기, 고추, 마늘, 양파 등이다.

관련기사



물가특위는 내년 농축산물 할인쿠폰 사업 예산 증액도 추진한다. 물가 상승분 만큼을 정부가 지원해 국민들의 생활 부담을 낮춰 주자는 취지다. 농축산물 구매 시 20~30%를 정부가 지원해주는 것으로 올해 예산에 780억 원 규모로 반영돼 있다. 다만 올해 할인쿠폰 지원이 추가로 확대될 지는 불투명하다.

저소득층을 겨냥해 농식품 바우처 시범사업을 확대 및 연장하는 방안도 검토됐다. 농식품 바우처는 중위소득 50% 이하 가구의 영양 지원을 위해 도입됐으며 현재 15개 지역에서 시범 사업 중이다. 류 위원장은 “현장에서 효과가 좋다는 피드백이 있었다”며 “2023년까지 예정된 바우처 시범사업을 지속하는 방안을 정부와 협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면세 농산물을 사용하는 음식점, 제조업의 부가가치세 부담을 줄이기 위해 의제매입세액제도 공제율을 확대해야 한다는 의견도 이날 회의에서 언급됐다. 류 위원장은 “향후 국회 차원에서 심도 있게 논의할 것”이라고 했다.

국민의힘 지도부는 전일 정유사·은행에 이어 이날 유통업계를 향해서도 물가 고통을 분담해 달라고 요청했다. 이날 성일종 국민의힘 정책위의장은 “소득 하위 20% 가구의 월평균 가처분소득의 절반 가까이가 식비일 정도로 물가 상승이 국민의 일상을 위협한다”며 “농협, 수협, 대형마트 등도 국민 밥상 물가를 안정화 시키는데 힘을 모아주시길 바란다”고 촉구했다.


이승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