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이달 무역수지 적자폭 확대" …정부마저도 수출 둔화 인정

'제1차 비상경제차관회의'

화물연대 파업·세계 경기침체 겹쳐

'경제 버팀목' 수출 증가세도 타격

인플레 우려…공공요금 동결키로

방기선 기획재정부 차관이 2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1차 비상경제차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제공방기선 기획재정부 차관이 2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1차 비상경제차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제공




이달 무역수지 적자 폭이 예상보다 더 커질 것이라는 정부 전망이 나왔다. 우리 경제의 버팀목인 무역수지의 불안 양상이 심각해지면서 정부의 발등에도 불이 떨어졌다. 정부는 특히 인플레이션을 우려해 상하수도 등 공공요금 가격을 하반기에 동결하는 쪽으로 정책 역량을 집중하기로 했다.



정부는 2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1차 비상경제차관회의’를 통해 “이달 들어 조업일수가 2일 감소하고 화물연대가 파업하는 등 일시적 요인이 겹치며 수출이 주춤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며 “무역수지 적자 폭도 다소 확대될 것”이라고 밝혔다. 에너지 가격 급등으로 수입액이 늘며 4~5월 무역수지는 두 달 연속 적자를 기록했다. 그런데 이번에는 수출 증가세까지 약화돼 적자 폭이 더 늘어날 수 있다는 것이다.

관련기사



특히 올 상반기 무역수지 적자가 역대 최대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정부 관계자는 “다음 달 중 산업통상자원부를 중심으로 민관 합동 수출상황점검회의를 개최해 품목과 지역별로 수출 애로 요인이 없는지 면밀히 살펴볼 것”이라며 “금융과 물류, 규제 개선 등 지원 방안을 다각도로 강구하겠다”고 강조했다.

지방 공공요금을 동결하겠다는 입장도 드러냈다. 정부 관계자는 “상하수도 등 지방 공공요금은 하반기에 동결을 원칙으로 최대한 안정적으로 관리할 것”이라며 “물가 안정에 힘쓴 우수 지자체에는 특별교부세를 비롯한 인센티브를 부여하겠다”고 말했다. 앞서 정부는 비상경제장관회의를 개최해 물가 안정에 협조한 지자체에 110억 원 규모의 특교세를 지원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국민이 유류세 인하 조치를 빠르게 체감할 수 있도록 조치하겠다는 점도 강조했다. 정유사의 주유소 공급 가격과 직영 주유소의 판매 가격을 인하하고 자영 주유소도 최대한 빠른 시일 내에 가격을 내릴 수 있도록 유도하겠다는 것이다. 유류세 인하에도 재고 물량이 있다는 이유로 일부 자영 주유소가 기름값을 내리지 않아 국민이 정책을 체감하기 힘들다는 비판이 나온 데 따른 조치다.

세종=곽윤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