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조폐공사, AI 상담원 도입해 고객과 소통 강화

지역상품권 ‘chak’서비스 문의 실시간 대응 위해 모바일 상담채널 구축

콜센터 인력 대체 등 효율화 및 고객 만족도 제고

대전시 유성구 대덕특구내에 자리잡고 있는 한국조폐공사 본사. 사진제공=한국조폐공사대전시 유성구 대덕특구내에 자리잡고 있는 한국조폐공사 본사. 사진제공=한국조폐공사




한국조폐공사가 지역 상품권 서비스 ‘착(chak)’ 고객들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모바일 상담채널을 개설하는 등 고객만족경영에 적극 나서고 있다.



조폐공사는 지역 상품권 ‘chak‘의 모바일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면서 고객 서비스를 강화하기 위해 ’지역사랑상품권 1대 1 모바일 상담채널‘을 개설해 운영중이라고 28일 밝혔다.

또한 착 서비스의 기본 기능 소개 등을 위해 365일 24시간 돌아가는 카카오 AI 챗봇을 도입했다.



조폐공사 착 서비스를 활용하는 지자체는 총 75개이다. 착 서비스 초기 지류 중심에서 올해는 카드 및 모바일 가입자들이 크게 증가했다. 지난 5월말 현재 모바일 가입자는 총 180만명으로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100만명보다 80% 증가한 수치다. 모바일 가입자가 단기간에 급증하면서 조폐공사의 콜센터에는 문의전화가 늘면서 자연스럽게 고객 응대에 병목현상이 발생했다.

관련기사



조폐공사는 해결책으로 지역사랑상품권 1대 1 모바일 상담채널을 개설해 고객 유입채널을 분산시켰다. 나아가 지역사랑상품권 상담을 위해 365일 24시간 돌아가는 AI챗봇을 도입해 고객 불편을 최소화했다.

이 같은 대책으로 고객들의 소통 창구가 콜센터에서 모바일 상담채널로 바뀌고 있으며 만족도도 높아졌다. 모바일 상담채널을 도입함으로써 콜센터 인력 대체 효과와 더불어 문제해결시간 단축, 단순 업무처리 효율 상승, 소통 창구 다양화, 고객과의 접점 강화 등 여러 부분에서 유무형의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고 조폐공사는 설명했다.

조폐공사는 지난 14일 대전시가 주최하고 한국표준협회가 주관한 품질분임조 경진대회에서 ‘민원응대 시스템 구축으로 고객만족 향상’이라는 주제로 최우수상을 수상했다.

조폐공사 반장식 사장은 “AI 상담원 도입으로 모바일 지역상품권 chak 고객 서비스 만족도가 더욱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며 “앞으로도 보다 많은 국민들이 다양한 영역에서 더욱 편리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대전=박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