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현대로보틱스, 자율주행 기반 방역로봇 개발 성공

서빙로봇 개발 이은 두번째 서비스로봇 출시

울산시 중구청에서 현대로보틱스의 방역로봇이 가동되고 있다. 사진제공=현대로보틱스울산시 중구청에서 현대로보틱스의 방역로봇이 가동되고 있다. 사진제공=현대로보틱스




현대중공업그룹 계열사 현대로보틱스가 방역로봇 개발에 성공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번에 출시되는 현대로보틱스의 방역로봇은 병원 수술기구 살균에 사용되는 플라즈마 방식으로 대기를 살균하고 ‘UVC(Ultraviolet C) LED’를 로봇 바닥면에 설치해 바닥 살균을 진행한다.

관련기사



현재 시중에 판매되는 많은 방역로봇은 인체에 유해한 소독액을 분무하고 피부 질환을 유발하는 UVC 램프를 로봇 정면에 설치해 방역 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보통 비대면 방역만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하지만 현대로보틱스의 방역로봇은 로봇 내부에서 플라즈마 살균으로 각종 유해균을 제거해 상부로 정화된 공기를 배출한다. 또 8가지 센서를 탑재해 대기 중 초미세먼지, 유기화학물 등을 감지하고 이를 3종 필터를 통해 흡입, 정화한다.

이어 정지상태에서 152㎡(약 46평)에 대해 방역작업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율주행으로 활동하기 때문에 특히 공기청정기와 살균기를 설치하기 어려운 상업용 빌딩, 병원, 학교, 사무공간 등의 로비와 통로에서 방역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현대로보틱스 관계자는 “이번 방역로봇 출시를 시작으로 현대로보틱스가 앞으로도 다양한 서비스로봇을 선보여 전세계 서비스로봇 시장을 선도하겠다”고 말했다.


박호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