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6월 모평 국영수 작년 ‘불수능’ 만큼 어려웠다…문·이과 선택과목 쏠림도 심화

국·수 최고 표준점수 작년과 동일

영어 1등급 5.7%로 역대급 난도

선택과목별 유불리 현상도 그대로

강원 춘천고등학교 3학년생들이 지난달 9일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6월 모의평가를 준비하고 있다. 춘천=연합뉴스강원 춘천고등학교 3학년생들이 지난달 9일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6월 모의평가를 준비하고 있다. 춘천=연합뉴스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6월 모의평가에서 국어와 수학·영어 영역 모두 매우 어렵게 출제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문·이과 통합 체제가 도입된 후 나타난 국어·수학 영역의 선택과목 쏠림 현상도 심화한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지난달 9일 실시한 6월 모평 채점 결과를 5일 발표했다. 영역별 표준점수 최고점을 살펴보면 국어 영역은 149점, 수학 영역 147점으로 두 영역 모두 지난해 치러진 2022학년도 수능과 동일했다. 국어·수학 영역 모두 어렵게 출제돼 ‘불수능’으로 불린 지난해 수능만큼 이번 모의평가 역시 어려웠다는 의미다.

관련기사



절대평가인 영어 역시 1등급 학생 비율이 5.74%로 나타나 어렵게 출제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 수능(6.25%)보다 더 낮은 수치이자 절대평가 도입 후 가장 어렵게 출제된 2019학년도 수능(5.3%)과 비슷한 수준이다.

‘공통과목+선택과목’ 체제로 치러지는 국어·수학 영역에서는 선택과목 쏠림 현상이 심화됐다. 문·이과 통합 수능 이후 상위권 수험생들은 국어에서는 ‘언어와 매체’를, 수학에서는 ‘미적분’을 선택해 해당 과목의 표준점수가 높게 나타나는 선택과목 간 유불리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확률과 통계’를 택하는 문과생이 이과생보다 불리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국어 영역의 선택과목별 응시자 비율은 화법과 작문이 64.1%, 언어와 매체가 35.9%였다. 특히 언어와 매체 선택 비중이 지난해 6월 모평 27.8%에서 35.9%로 늘었다. 이는 지난해 수능 30.0%보다도 높은 수치다. 수학 영역은 확률과 통계 51.5%, 미적분 42.8%, 기하 5.7% 순이었다. 특히 미적분 선택 비율이 지난해 6월 37.1%에서 42.8%로 크게 늘었다.

유불리 현상이 나타나면서 선택과목별 표준점수를 공개해야 한다는 목소리에 대해 평가원은 비공개 방침을 재차 밝혔다. 지난해 평가원은 선택과목별 표준점수를 공개할 시 혼란을 일으킬 수 있다고 설명했다. 입시 업계는 선택과목별 유불리 현상과 함께 문·이과 격차가 더욱 심화할 것으로 전망했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이과생이 ‘언어와 매체’에 몰리면서 국어에서도 문·이과 격차가 발생할 소지가 커지고 있다”며 “우수한 학생들의 특정 과목 쏠림 현상이 더 집중되는 양상이어서 선택과목 간 점수차는 통합 수능 2년차에도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신중섭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