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포스코케미칼 ‘ESG경영 속도전’…“배터리 소재 2035년 탄소중립 달성”

기업시민보고서로 로드맵 공개

탄소포집기술 도입 등 추진키로





포스코케미칼(003670)(대표 민경준·사진)이 2035년까지 배터리소재 사업 부문의 탄소중립을 달성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6일 포스코케미칼은 ‘2021 기업시민보고서’를 발간하고 2035년까지 배터리소재 사업에서 완전한 탄소중립을 달성할 계획을 공개했다. 이는 배터리소재 기업으로서 기후변화 문제 해결에 나서고 주요 자동차사와 배터리 고객사들의 친환경적인 소재 생산 요구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다.



구체적으로 2035년까지 양극재·음극재 생산에 사용하는 모든 전력을 재생에너지로 사용하는 RE100 목표를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또 배터리소재를 포함해 라임케미칼, 내화물 전 사업 부문에서도 탄소 포집·활용·저장 기술 도입을 통한 공정 중 배출 감축, 저탄소 원료·연료 전환, 공정 개선을 통한 에너지 효율 향상 등을 적극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배터리소재를 제외한 타 사업 부문에서는 생석회 등을 만들 때 원료의 화학적 반응으로 인해 공정 중 이산화탄소 배출이 많은 점을 감안해 감축 제로화를 2050년까지 단계적으로 달성한다는 목표다.

현재 포스코케미칼은 국내외 양·음극재 공장에 태양광 발전설비 도입을 확대하고 있다. GM과 북미에 설립하는 양극재 합작사 ‘얼티엄캠’에서도 수력 등 재생에너지를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이밖에 공급만 건전성을 강화해 양·음극재 원료는 인권침해, 환경파괴 등의 문제가 없다고 인증받은 책임광물로 100% 활용 중이다.

민경준 포스코케미칼 사장은 “적극적인 친환경 사업 투자와 연구개발 등을 통해 ESG 경영에서도 배터리소재 산업을 선도할 수 있는 경쟁력을 확보해 이해관계자와 시장의 요구에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호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