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3년부터 50여년간 전 세계 바다에 선박을 보낸 대우조선해양(042660) 1도크가 역사상 처음으로 멈췄다. 거제통영고성조선하청지회가 1도크를 무단 점거하면서 한국 조선 역사의 상징인 대우조선해양의 1도크에서 한 달 가까이 작업 소리가 들리지 않게 된 것이다. 선박 인도가 중단되자 해외 선주의 불만 목소리가 속속 나오기 시작하고 파업에 참가하지 않은 대다수 근로자의 생계도 위협당하고 있다.
박두선 대우조선해양 사장은 7일 옥포조선소에서 사상 초유의 1도크 중단 장기화에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하청지회 파업 중단을 간곡히 부탁했다.
수년간 조선 불황에서 다시 호황으로 모처럼 일감이 몰려들고 있는 대우조선해양 입장에서는 호황을 볼모로 잡은 불법 파업에 대해 회사 존립까지 위태로워졌다고 강조했다.
과거 수주 급락에 회사는 지난해 1조 7547억 원의 영업 적자를 봤다. 1분기 부채 비율도 523%에 육박하며 유동성 부족도 경험하고 있다.
이 같은 부정적 환경에도 최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등의 영향으로 글로벌 에너지 수급 환경이 급변하며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중심으로 선박 발주가 크게 늘어나 대우조선해양도 극적으로 3년치의 일감을 확보했다.
박 사장이 예정에도 없던 긴급 기자회견을 연 것은 회생의 기미를 보이는 대우조선해양의 경영 환경이 다시 생각보다 빠르게 악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직접적인 손실 외에도 선박 인도 연기에 따른 해외 선주의 대우조선에 대한 불신과 지역 근로자들의 생계 위협까지 무형의 리스크까지 가중되고 있다.
박 사장은 “1도크에서 건조 중인 호선은 모두 4척으로 인도가 무기한 연기되고 있다”며 “내업에서 외업으로 넘어가는 재공 재고 블록이 증가하면서 내업 공정도 조만간 중단해야 한다”고 말했다.
파업에 따른 실제 피해 금액도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박 사장은 “진수 지연으로 하루에 매출 감소 260억여 원, 고정비 손실 60억여 원까지 발생하고 있다”며 “매출과 고정비 손실만 6월 말까지 2800억 원이 넘는 셈”이라고 했다.
인도 일정 미준수에 따른 지체 보상금도 발생하고 있다. 회사 측은 지난달 말 기준 지체 보상금에 대해 400만 달러(52억 원)로 보고 있다. 이달 말까지 파업이 이어지면 지체 보상금만 2000만 달러(260억 원)로 불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해외 선주들은 서서히 불만의 목소리를 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컨테이너선 등 인도해야 할 선박들은 이미 용선 계약이 돼 있는데 선주들이 얻을 수 있는 이익도 손실을 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조선 업계에서 납기 준수는 발주자의 신뢰도를 제고하는 유일한 방법으로 납기는 향후 일감 확보의 결정적인 요소이자 경쟁력의 핵심이다.
해외 선주들과의 신뢰 문제뿐 아니라 근로자들의 생계 문제도 커지고 있다. 박 사장은 “조선소의 심장인 도크가 폐쇄됨에 따라 선후 공정의 생산량을 조정할 수밖에 없어 사내 직영 및 협력사 2만 명과 사외 협력사까지 총 10만여 명의 생계 또한 위협을 받고 있다”고 호소했다.
현재 하청지회는 1도크 외에도 작업자 진입 방해, 고소차 운행 방해, 에어 호스 절단, 물류 적치장 봉쇄 등 무력 시위를 이어가고 있다. 특히 현재 파업에 참여하고 있는 근로자는 하청지회 가입자(400여 명) 중 120여 명으로 파악되고 있다. 사내 협력사 포함 2%도 안되는 소수 인원 파업으로 옥포조선소가 완전히 멈춰선 것이다.
박 사장은 “회사는 특근 조정, 야간 작업 중단 등의 생산 일정 조정을 발표하고 사태가 장기화되면 주간 근무시간 축소도 불가피하다”며 “지금 피해가 대우조선해양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향후 전체 조선업으로 확산돼 대한민국 조선 산업의 존립을 위태롭게 할 수 있다”고 하소연했다. 이어 “국가 기간산업에서 벌어진 작업장 점거, 직원 폭행, 설비 파손, 작업 방해 같은 모든 불법행위에 대해 철저히 수사해주시고 법 질서를 바로잡아 달라”고 호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