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포스코, ESG 성과는 얼마?…‘2021 기업시민보고서 발간’

매년 발간 기업시민보고서 ESG 경영 구체화·세분화

ESG 성과도 수치화 해 정량적 평가 첫 시도





포스코가 매년 발간하는 기업시민보고서를 구체·세분·수치화의 목표 아래 꾸준히 발전시키고 있다.

8일 포스코는 철강 사업 전문회사 전환 이후 첫 ‘2021 포스코 기업시민보고서’를 발간했다고 밝혔다.



이번 보고서에는 △친환경 제철 프로세스로의 전환 △스마트 제철소 구축 △초일류 제품 경쟁력 지속 강화 △창의와 신뢰의 기업문화 조성 △이해관계자와 상생 등 5가지 미션을 담았다.



이번 보고서를 통해 환경·사회·지배구조(ESG) 성과 관리를 위해 마련한 구체적인 실천 방안을 공개했다. 탄소중립 활동, 친환경 소재 개발, 안전·보건 강화 등 9가지 중점 활동으로 구성된 실천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임원들이 실천과제를 수행하는 등 ESG 경영을 강화하고 있다.

보고서 내 ESG 정책집을 신설해 분야별 정책과 지침도 종합해 공개했다. 환경 분야(E)에는 탄소중립 선언과 환경 관리 가이드라인을 구체화 했다. 사회(S), 지배구조(G) 분야에서는 각각 안전보건 경영 정책·인권 경영 가이드라인과 윤리규범, 반부패 준수 지침을 세분화해 공개했다.

이번 보고서를 통해 기업시민가치 측정 방법론도 처음으로 소개했다. 기업시민가치는 △강건한 산업 생태계 조성 △더 나은 사회 구현 △행복하고 보람 있는 회사 구현 영역의 150개 세부 지표로 구성돼 있다.

이밖에 ESG 성과를 구체적인 화폐 가치로 측정하는 표준 개발 목표로 글로벌 기업 연합체 VBA(Value Balancing Alliance)에 가입해 기업시민가치 측정 방법론도 정량화를 목표로 두고 있다.

포스코 김학동 대표이사 부회장은 “어느 때보다 사회적 책임을 다하며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생산하는 것이 중요한 시점으로, 미래 경쟁력은 지속가능경영(ESG) 성과에 좌우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호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