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인물·화제

"新기술·금융공학 결합한 암호화폐, 안전자산 될 수 없어…위협 될 수도"

브레이너드 美연준 부의장

테라 언급하며 규제 촉구

[EPA 연합뉴스 자료사진][EPA 연합뉴스 자료사진]




레이얼 브레이너드(사진)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부의장이 8일(현지 시간) 한국산 코인 테라USD(UST) 폭락 사태를 거론하면서 암호화폐 산업에 대한 규제의 필요성을 공개 촉구했다.



연준이 공개한 연설문에 따르면 브레이너드 부의장은 영국 중앙은행(BOE) 주최로 런던에서 열린 가상자산과 탈중앙화 금융에 관한 콘퍼런스 연설을 통해 “테라 폭락은 명목화폐와 비례해 안정된 가치를 유지한다고 자칭하는 자산이 얼마나 빠르게 뱅크런(대량 인출 사태)의 대상이 될 수 있는지 상기시켜준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테라 붕괴와 과거 다른 여러 알고리즘 스테이블코인의 실패는 역사적으로 전형적인 뱅크런을 연상시킨다”며 “새로운 기술과 금융 공학이 그 자체만으로 위험자산을 안전자산으로 탈바꿈할 수 없다”고 비판했다.

관련기사



브레이너드 부의장은 “암호화폐 생태계가 너무 많이 상호 연결되고 커져서 광범위한 금융 시스템의 안정성에 위협을 가하기 전에 지금 가상 금융 시스템에 대한 건전한 규제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제안했다. 그는 다만 최근 암호화폐 급락에도 불구하고 아직은 암호화폐 시장이 전통적인 금융 시스템에 구조적인 위협을 가할 정도로 커지지는 않았다고 진단했다.

이날 브레이너드 부의장의 언급은 테라USD와 자매 코인 루나의 폭락 사태, 대형 암호화폐 헤지펀드 ‘스리애로즈캐피털’ 파산, 셀시어스 등 암호화폐 대출 업체들의 유동성 위기가 잇따르는 상황에서 나와 주목된다.

이처럼 암호화폐에 대한 규제 목소리가 커지는 가운데 신시아 루미스 공화당 상원의원과 키어스틴 질리브랜드 민주당 상원의원은 미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가 암호화폐 규제를 총괄한다는 내용의 초당적 법안을 지난달 초 발의한 바 있다.


김상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