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알바해 망원경 사던 여중생…71세에 '제임스 웹' 쏘아올렸다

'제입스 웹' 근적외선카메라 책임과학자 리케 교수

알바로 첫 망원경 마련…"자신이 좋아하는 것 하라"

제임스 웹 망원경 근적외선카메라 책임자 마르시아 리케 애리조나대 교수. 연합뉴스제임스 웹 망원경 근적외선카메라 책임자 마르시아 리케 애리조나대 교수. 연합뉴스




인류 역사상 가장 강력한 우주망원경인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JWST)’이 촬영한 우주 심연 이미지가 12일 공개될 예정인 가운데, 망원경의 핵심 장비인 근적외선카메라(NIRCam)를 담당한 71세 여성 과학자에게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마르시아 리케 애리조나대 교수는 미국 항공우주국(NASA) 제임스 웹 프로젝트의 근적외선카메라 책임과학자다. 그는 1951년생으로 71세 나이에 자신이 설계한 카메라로 우주 태고의 모습을 확인하는 역사적 순간을 맞는다.



리케 교수는 지난해 12월 우주로 발사된 망원경이 올해 2월 첫 테스트 사진을 보내고, 지난 5월 장비 조절 과정에서 포착한 대마젤란운 사진을 전송했을 때 흥분을 감추지 못했다.

관련기사



그는 대마젤란운을 보고 "그것이 전달하는 이미지의 종류를 실제로 본 후에야 당신은 그것을 진짜 내면화하고는 '와우'하고 놀라게 된다"며 "우리가 무엇을 배울지 생각해보라"고 기쁜 마음을 전했다.

리케 교수는 어린 시절 공공도서관에서 책을 읽으며 천문학에 매료됐다고 한다. 그는 중학생 시절 베이비시터 아르바이트로 모은 돈으로 자신의 첫 망원경을 마련했고 지금까지 천문학의 길을 걷고 있다.

리케 교수는 지난 3월 뉴욕타임스(NYT)와의 인터뷰에서 “매사추세츠공대(MIT)에 진학했을 때는 우주비행사가 되기 위해 항공공학을 공부했지만, 이후 진로를 바꿔 물리학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며 "그것이 천문학으로 가는 길 중의 하나였다"고 밝혔다.

그는 '사람은 자신이 좋아하는 것을 할 필요가 있다. 열정을 찾고 그것에 도전하라'는 조언이 가장 도움이 됐다고 했다. 과학 분야를 희망하는 젊은 여성들에게는 "불안하거나 주저하는 마음이 생기면 조언과 지원을 받을 수 있는 기관을 찾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는 "나는 꽤 독립적인 성격이었지만 어떤 사람들은 본인 능력을 자신하지 못하기도 한다"며 "자신감을 못 느낄 때는 대화할 여성을 찾고, 그러면 기분이 좋아지고 나아갈 수 있다"고 말했다.


마주영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