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美, 코로나 잡으려 항생제 퍼붓다 '슈퍼박테리아' 감염 급증

팬데믹 초기 코로나 환자에게 항생제 처방한 병원

사진은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이미지투데이사진은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이미지투데이




미국이 코로나19 확산 첫해 환자에게 항생제를 과도하게 사용하는 바람에 항균제를 사용해도 치료되지 않는 '슈퍼 박테리아' 감염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2일(현지시간)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코로나19가 미국 항균제 내성에 미친 영향 2022 특별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 병원에서 항균제 내성균에 감염된 사례가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대비 15% 증가했다.

주요 균별로 보면 폐렴, 혈류감염, 창상감염을 유발할 수 있는 카바페넴 내성 아시네 토박터 감염증은 78% 늘었고 피부감염·욕창·폐렴·균혈증 등을 유발하는 다제 내성 녹농균(MRPA) 감염증은 3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요로감염·창상감염·균혈증 등을 일으키는 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VRE) 감염증이 14%, 화농성 염증· 식중독 ·패혈증 증상 등을 보이는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MRSA) 감염증이 13% 늘었다.

관련기사



박테리아는 진화하면서 항생제에 내성이 생기는 경우가 있어 항생제를 많이 사용할수록 박테리아가 적응할 가능성이 크다.

코로나19 확산 첫해 다수 병원은 고열과 호흡 곤란 등 폐렴과 유사한 증상을 보인 환자에게 일단 항생제를 처방했다. 2020년 3월부터 10월까지 코로나19로 입원한 환자의 거의 80%가 항생제를 받았다.

항생제는 박테리아는 잡을 수 있으나 코로나19처럼 바이러스를 통해 감염되는 질병에는 효과가 없다.

CDC는 박테리아나 진균 감염 여부를 모를 때 항생제 처방이 적절할 수도 있지만, 처방을 많이 하면 항생제 내성균 성장해 확산할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 항생제 내성균 감염을 막으려면 병원이 적절한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데 코로나 19 입원 환자가 급증한 상황에서는 쉽지 않았다고 밝혔다.

팬데믹 초기 병원에는 마스크 등 개인보호장비와 인력이 부족했고, 세균 감염 경로가 될 수 있는 카테터와 산소호흡기 같은 의료장비를 자주, 오래 써야 하는 중증 환자가 많았다.

CDC에 따르면 2020년 미국에서 2만 9400명 이상이 항생제 내성균에 감염돼 사망했는데 이 가운데 거의 40%가 병원에서 감염됐다.

코로나19 확산으로 병원에서 제대로 된 자료를 받기 어려웠던 점을 고려하면 감염 사례가 더 있을 수 있다고 CDC는 밝혔다.


김형민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