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2030년까지 '무탄소 선박' 기술 개발…2540억원 투입

친환경선박 혁신기술개발사업 통합사업단 출범

온실가스 규제 대응하고 미래선박 시장 선점

친환경 선박 기술 개발 목표도. 사진 제공=해양수산부친환경 선박 기술 개발 목표도. 사진 제공=해양수산부




해양수산부가 온실가스 배출 규제 강화에 대응해 ‘무탄소 추진 선박’을 조기 상용화하고 글로벌 시장 선점을 노린다.



해수부는 15일 부산 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에서 친환경 선박 전주기 혁신기술개발사업 통합사업단을 출범한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국제해사기구(IMO)의 ‘2050 국제 해운 온실가스 50% 감축’ 목표 등 강화되는 선박 온실가스 배출 규제에 대비해 친환경 선박 및 관련 기자재의 조기 상용화를 목표로 해수부와 산업통상자원부가 10년간 공동 추진하는 프로젝트다.

관련기사



친환경 선박은 선박 엔진의 연료 전환, 연료전지·배터리 등 전기 추진 및 에너지 최적화 시스템 등을 탑재해 선박의 탄소 배출량을 줄일 수 있는 차세대 고부가가치 선박이다. 정부는 IMO의 온실가스 배출 규제 대응과 미래 선박 시장에서 신기술 선도를 위해 2030년까지 수소·암모니아 기반 무탄소 추진 핵심 기술을 개발하기로 했다.

해수부는 관련 기술의 시험·실증 및 국제 표준화(ISO)와 함께 IMO의 의제 개발 활동에도 적극적으로 나선다. 사업비는 총 2540억 원이 투입된다.

통합사업단은 산업부와 해수부가 각각 지원하는 개발 분야와 실증 분야로 구성된다. 개발 분야는 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에서, 실증 분야는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에서 주관해 사업을 진행한다.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기술자문위원회를 운영해 산업계·학계 등에서도 의견을 수렴한다.

송상근 해수부 차관은 “미래 선박 시장 선도를 위한 친환경 선박 전주기 혁신기술개발사업을 통해 해운·조선 분야의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창출해 달라”고 말했다.


세종=박효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