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수돗물 정수’ 활성탄, 정부 비축으로 안정적 수급 관리한다

조달청, 한국수자원공사와 업무협약…직접구매, 보관관리, 재고순환 등 협력

공급망 위기 상황 속 요소수 사태 후 정부 비축 추진 첫 사례

이종욱(왼쪽) 조달청장과 박재현(오른쪽) 한국수자원공사 사장이 활성탄 정부 비축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있다. 사진제공=조달청이종욱(왼쪽) 조달청장과 박재현(오른쪽) 한국수자원공사 사장이 활성탄 정부 비축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있다. 사진제공=조달청




조달청과 한국수자원공사는 19일 조달청 대회의실에서 국민에게 안전한 먹는 물 공급에 필수 품목인 활성탄 정부 비축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조달청은 비축자금을 활용한 활성탄 구매업무를, 수자원공사는 조달청이 구매한 활성탄 보관 및 재고순환 등 관리업무를 맡기로 했다.

또한 양 기관은 비축 협력사업의 원활한 수행을 위하여 ‘활성탄 비축 협의회’를 구성·운영해 적기에 활성탄이 비축될 수 있도록 협력방안을 모색하기로 했다.



활성탄은 고도정수처리시설에서 수돗물을 만들 때 최종 여과 과정에서 사용되며, 활성탄에 있는 미세한 구멍이 수돗물의 냄새물질 등 미량유해물질을 흡착하는 역할을 한다.

관련기사



‘고도정수처리용 활성탄’은 석탄을 원료로 제조되며 모두 중국에서 수입중으로 공급망 장애시 국민에게 안전한 먹는 물 공급에 차질 우려가 높은 품목이다.

이번 업무협약을 통한 활성탄 비축 추진은 지난해 요소수 사태 이후 마련한 정부의 공급망 수급 안정화 방안 중 하나인 비축 추진의 첫 사례다.

최근 공급망 위기 등 대외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대외 의존도가 높은 활성탄을 선제적으로 비축함으로써 공급망 장애 등 비상시 안정적 수급 관리 체계가 마련될 것으로 기대된다.

활성탄은 조달청의 요청에 따라 지난 7월 1일 기획재정부에서 ‘긴급수급조절물자’로 지정했다. 2024년까지 총 비축규모는 8000㎥(약 120여억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향후 환경부와 지속적인 협의를 통해 비축 규모를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이종욱 조달청장은 “상시화된 글로벌 공급망 위기 상황에서 한국수자원공사와 협력해 선제적으로 정부 비축을 추진하기로 한 첫 사례라는데 큰 의미가 있다”며 “국민에게 안전한 먹는 물 공급에 지장이 없도록 활성탄의 수급 안정성을 확보하는데 최선을 다하고 향후 활성탄 외에 국민생활과 밀접한 품목 중 비축 필요성이 높은 품목을 적극 발굴해 정부 비축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대전=박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