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해외증시

[SEN투자전략]美 기술주 강세…국내증시 기술주 중심 차별화 장세 이어질 것


[서울경제TV=서정덕기자]뉴욕증시는 테슬라 급등과 유럽중앙은행(ECB)의 기준금리 인상 등에 상승 마감했다. 국내증시 역시 기술주를 중심의 긍정적 흐름이 예상되는 가운데 종목별 장세가 펼쳐질 것으로 전망된다.


21일(현지시간)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62.06포인트(0.51%) 오른 3만2,036.90에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도 39.05포인트(0.99%) 상승한 3,998.95을 기록했고, 나스닥 역시 161.96포인트(1.36%) 오르며 1만2,059.61에 마감했다.

이날(현지시간 21일) 시장은 유럽중앙은행(ECB)의 금리 인상과 테슬라 주가 등에 주목했다.

ECB는 11년 만에 0.50% 금리 인상을 단행하며 제로 금리 시대의 종지부를 찍었다.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한 공격적인 긴축으로 시장의 예상보다 긴축의 강도가 강했다.

이에 최근 지속된 달러 강세가 완화되며 기술주에 긍정적 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된다.


기업들의 예상 밖 호실적도 이어지고 있다. 전일 장 마감 후 시장 예상치를 상회하는 매출과 영업이익을 발표한 테슬라는 9.78% 급등 마감하며 800달러선을 회복했다.

관련기사



이 외에 필립모리스, 아메리칸항공, 라스베이거스샌즈 등이 예상치를 웃도는 실적을 발표했다.

증권업계는 뉴욕증시가 ECB의 빅스텝과 경기침체 이슈 소화에 따른 기술주 강세는 국내 증시 관련 종목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이라 전망했다.

서상영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미 증시가 장 초반 ECB의 빅스텝과 경기 침체 이슈를 소화하며 강세를 보인 점은 한국 증시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되며 특히 그동안 하락폭이 컸던 기술주가 상승을 주도해 한국 증시에서 관련 종목의 강세가 예상된다”고 전했다.

이어 서 연구원은 “달러 약세에도 불구하고 원화 약세 가능성이 부각된 점과 미 증시 마감 후 반도체 업종을 비롯해 대부분의 종목이 차익 매물이 출회되며 하락하고 있다는 점은 부담”이라며 “이를 감안한 국내 증시는 0.3% 내외 상승 출발 후 다음 주 FOMC를 앞둔 가운데 매물 소화 속 미 증시 특징처럼 종목 장세가 펼쳐질 것”이라 전망했다. /smileduck29@sedaily.com

서정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