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대우조선 사태 타결…하청노조 파업 51일째 종료

정부 중재로 노사이견 좁혀 극적 합의

공권력 투입 없이 자율 해결 원칙지켜

대우조선해양 하청 노사협상이 극적으로 타결된 22일 경남 거제시 대우조선해양 옥포조선소에서 협력사 대표인 권수오 녹산기업 대표(왼쪽)와 홍지욱 금속노조 부위원장이 손을 맞잡고 있다. 연합뉴스대우조선해양 하청 노사협상이 극적으로 타결된 22일 경남 거제시 대우조선해양 옥포조선소에서 협력사 대표인 권수오 녹산기업 대표(왼쪽)와 홍지욱 금속노조 부위원장이 손을 맞잡고 있다. 연합뉴스




대우조선해양 하청노조 파업 사태가 51일째 타결됐다. 하청노조 파업 장기화를 막기 위해 정부가 노사를 대화로 설득한 결과다. 노사가 극단으로 치닫을 수 있던 공권력 투입이라는 최악의 상황도 피했다.



대우조선해양 하청업체 노사는 22일 경남 거제 대우조선해양 옥포조선소에서 임금 인상 등 여러 요구안을 합의하고 파업을 중단한다고 밝혔다. 지난달 2일부터 하청노조가 선박을 점거하고 파업을 단행한 지 51일 만이다. 지난달 22일부터 철제구조물에 들어가고 20m 높이 프레임 위에 올라 벌였던 고공 농성도 곧 해제된다.

관련기사



그동안 정부는 파업 장기화로 대우조선해양뿐 아니라 조선업, 거제 지역에까지 미친 피해를 막기 위해 강경책(공권력 투입 시사), 온건책(두 차례 담화문 발표)을 번갈아 썼다. 전날까지만 해도 대우조선해양 파업 현장에 경찰이 동원돼 강제 해산이 이뤄질 것이라는 관측도 많았다. 하지만 정부는 노사 문제는 자율로 해결한다는 원칙 아래 적극적인 중재를 했다.

다만 대우조선해양이 파업으로 인해 입은 피해 보상 처리가 관건이다. 이번 파업으로 노사와 원하청 구조의 문제, 정부의 노사 문제에 대한 대응 방식 등 여러 과제도 드러났다.

세종=양종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