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부산시, 2026년 UAM 초기 상용화 목표로 협력체계 구축

국내 최초 지·산·학·연·군 협력체계 구축

LG유플러스, LG사이언스파크, 카카오모빌리티, GS건설 등 참여

2026년까지 UAM 초기 상용화 1개 노선 이상 목표

부산시청 전경./사진제공=부산시부산시청 전경./사진제공=부산시




2026년 도심항공모빌리티(UAM)가 부산의 하늘을 날아다닌다.



부산시는 27일 오후 시청 국제회의실에서 ‘UAM 상용화 및 산업생태계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한다고 밝혔다. 협약식에는 부산시를 비롯해 LG유플러스, LG사이언스파크, 카카오모빌리티, GS건설, GS칼텍스, 제주항공, 파블로항공, 해군작전사령부, 육군 제53사단, 한국해양대학교, 부산시설공단, 부산테크노파크 등 총 13개 기관이 참여한다.

부산은 인구 300만이 넘는 대도시이며 UAM의 초기 수요시장으로 예상되는 물류·관광이 부산시 전략산업으로 육성 중이고 해안로를 따라 형성된 물동량과 해상 회랑 및 공역 구축으로 안전성·수용성 확보 가능 등 UAM 상용화에 최적의 조건을 갖추고 있다는 평가이다.

부산시를 포함한 13개 기관은 올해 초부터 UAM 선도 전략에 대해 공감대를 가지고 여러 차례 실무협의를 진행해왔으며 기관별 역할과 사업 추진의 방향성 등을 합의하면서 이번 협약을 체결하게 됐다.



이날 협약을 시작으로 부산 UAM 회랑 실환경 비행 연구, 권역별 버티포트 입지 조건 및 운용조건 연구 등 부산시 UAM 상용화를 위한 기초연구에 본격적으로 착수하며 2026년까지 UAM 초기 상용화 1개 노선 이상을 목표로 다양한 실증을 추진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부산시는 UAM 산업 육성 정책 총괄, 해군 작전사령부는 공역·회랑의 작전·보안성 검증 및 협력체계 구축, 육군 제53사단은 육상회랑 및 공역 검증·육군작전 연계 활용 실증 지원, 한국해양대학교는 기초연구·인프라 지원, 부산시설공단은 도심 내 주차 및 차고지 시설·운용 지원, 부산테크노파크는 UAM 산업생태계 정책개발·기업 간 융합얼라이언스 구축 및 운영을 맡을 예정이다.

LG사이언스파크는 LG 계열사의 과제 및 사업 발굴, 카카오모빌리티는 MasS 플랫폼 운영 방법과 이동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버티포트 입지 연구 및 여객·물류 실증사업, GS건설은 버티포트의 친환경 인프라 솔루션 구축 관련 기술 연구를 수행한다.

제주항공은 UAM 운항 안전 신뢰성 조성, GS칼텍스는 주유소 네트워크의 버티포트 활용 연구, LG유플러스는 UAM 교통관리시스템과 통신 인프라 상용화를 위한 기술 실증, 파블로항공은 통합운항 관제시스템 연구개발 및 실증을 추진할 계획이다.

부산시는 신공항 건설 및 항만물류와 연계해 하늘길(Sky), 바닷길(Sea), 해양도시(Shore)를 연결하는 전국 최초의 유·무인 통합 스마트 버티포트를 구축한다. 또 신항(가덕도)-북항(부산역)-이기대-동백섬 해안로를 따라 UAM 노선 개발, 거점별 버티스탑 설치, 실증사업, 비즈니스모델 개발 등 지·산·학·연·군 협력으로 UAM 산업 생태계를 선도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지난해 12월 13일 ‘3S(Sky, Sea, Shore) 통합 글로벌 UAM 생태계 구축 포럼’을 통해 ‘부산형 UAM 산업육성 비전’이 제시된 바 있다. 당시 제시된 비전은 공중-해상-육상을 연결하는 글로벌 시장선도형 유·무인 복합 스마트포트 구축인데, 이번 업무협약이 이러한 비전을 달성하고 국내 UAM 대표 기업 컨소시엄 역량을 부산 해양환경에 집중케 함으로써 UAM 비즈니스 생태계가 강력하게 형성될 것으로 전망된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시와 함께하는 기관, 기업들과 국내 UAM 대표 기업 컨소시엄을 구축하고 탄탄한 로드맵을 수립해 글로벌 UAM 시장의 게임체인저가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부산=조원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