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우주산업 최적지는 ‘대전’

대전시, 우주산업 클러스터 유치 위한 세미나 개최

우주산업 최적지 대전 공감대 형성?

이장우(앞줄 왼쪽에서 다섯번째) 대전시장이 우주산업 클러스터 유치를 위한 전문가 세미나에 참석해 참석자들과 ‘위성하면 대전’을 외치고 있다. 사진제공=대전시이장우(앞줄 왼쪽에서 다섯번째) 대전시장이 우주산업 클러스터 유치를 위한 전문가 세미나에 참석해 참석자들과 ‘위성하면 대전’을 외치고 있다. 사진제공=대전시




대전을 우주산업 최적지로 만들기 위한 움직임이 본격화됐다.



대전시는 27일 카이스트 인공위성연구소에서 과기정통부가 추진하는 우주산업 클러스터의 유치를 위해 지역의 다양한 산·학·연·관 전문가가 참석한 가운데 전문가 세미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장우 대전시장과 전문가 협의체인 대전 뉴스페이스 발전 협의회 회원 등 산·학·연·관 전문가 30여명이 참석했고 전문가 발제, 질의응답, 우수산업 육성 의지를 담은 퍼포먼스 등으로 진행됐다.



신구환 카이스트 인공위성센터실장, 사공영보 대전 뉴스페이스 발전 협의회장(솔탑 대표), 유미진 항우연 선임연구원등이 전문가 발제에 나섰다.

관련기사



발제자들은 대전은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천문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국방과학연구소 등 13개 출연연이 집적된 우주 관련 연구개발의 핵심지이며 연구원마다 위성 관련 다양한 장비가 갖춰져 있어 추가적인 비용부담이 적다고 설명했다.

또한 카이스트, 충남대, 한밭대 등 교육 인프라를 바탕으로 인재 양성이 가능하고 국내 유일 위성 수출 기업인 쎄트렉아이 등 국내 최고 수준의 민간 기업도 64곳이 입주해 있어 타 지자체 대비 월등한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최근 우주산업을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육성하겠다는 정부 정책 기조를 확인하고 그 첫걸음으로 볼 수 있는 우주산업 클러스터는 정치적 논리를 배제하고 우주산업 육성이라는 정책목표를 기준으로 지정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장우 대전시장은 “우주산업 클러스터는 지역 우주산업 육성의 차원을 넘어 국가 우주경쟁력 확보의 마중물이 될 수 있는 의미있는 정부정책”이라며 “산·학·연·관 다양한 인프라를 갖춘 대전은 명실상부한 우주산업 클러스터의 최적지로 민간주도 뉴스페이스로의 패러다임 전환시기에 정부정책에 발맞추어 대전이 우주산업을 선도해 나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대전=박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