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中, 10년간 美 내부 정보 빼내려고 연준 직원 포섭"

데이터 제공하면 연구 지원 등 보상 약속

워싱턴DC에 있는 연준 본부. 로이터 연합뉴스워싱턴DC에 있는 연준 본부. 로이터 연합뉴스




중국이 최소 10년 전부터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내에 정보원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내부 정보를 빼낼려고 한 정황이 드러났다.



26일(현지시간) 미 상원 국토안보·정무위원회 소속 공화당 관계자들은 해당 내용이 담긴 보고서를 공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이 ‘요주의 인물(persons of interest)’로 지정된 연준 직원 13명과 오랜 기간 관계를 이어나갔다.

이들 중 상당수는 연준은행 8곳 출신으로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이나 중국 언론, 중국 정부가 2008년 만든 해외인재 유치 프로그램인 ‘천인계획’ 등과 밀접한 관계를 맺었다.

보고서는 이들에게 'P-네트워크'라는 이름을 붙였다. 특히 중국 정부는 천인계획을 활용해 연준 직원이 민감한 데이터를 제공하면 그 대가로 중국 대학·연구기관에 자리나 연구 지원 등 보상을 약속했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보고서에는 5가지 사례가 구체적으로 실렸다.

관련기사



이 중 외신이 꼽은 가장 심각한 사례로는 미·중 무역전쟁인 한창이었던 2019년 중국 관료들이 상하이를 방문한 연준 경제학자를 4차례에 걸쳐 구금하고 협박한 사건이다.

중국은 이 직원에게 민감한 미공개 경제 데이터를 공유하고 중국 고위 관료에게 관세 등 민감한 경제 문제를 조언해달라고 요구했다.

연준은 이 일을 연방수사국(FBI)·국무부에 알렸고, 모든 이코노미스트에게 중국 여행에 주의하라는 경고를 했다고 한다. 공화당이 주도한 이번 보고서는 “연준이 적절한 대응을 하지 못했다”고 강조했다.

다른 사례로는 직원이 중국 측과 지속적인 연락을 취한 이후 연준의 방대한 자료를 외부 사이트로 전달하려고 최소 두 차례 시도한 것이다. 조사가 시작되자 또 다른 직원은 이메일 주소를 바꾸고 중국에 기밀정보를 제공해 체포된 사례와 관련된 기사를 인터넷에서 검색했다.

위원회는 중국 정부가 연준에 정보원을 구축하고 기밀을 빼내려는 시도가 약 2013년부터 시작돼 10년 가까이 진행된 것으로 봤다.

포트만 상원의원은 “중국이 연준 관리를 표적으로 삼는 것은 미국을 약화하려는 악의적이고 비밀스러운 불법 정보 전송을 목표로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또 “보고서는 연준에 영향력을 행사하려는 중국의 지속적인 노력과 위협에 효과적으로 대처하지 못한 연준의 실패를 보여준다”고 주장했다.

반면 연준은 “불공정하고, 근거가 없으며 검증되지 않았다”는 반박 입장을 냈다고 로이터통신이 밝혔다.

김형민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