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정부 "한미 금리 역전…금융시장 불안시 시장안정조치 즉시 가동"

추경호 부총리, 비상경제금융회의 개최

"과거 금리 역전기에도 외국인 자금 순유입"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8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비상 거시경제금융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제공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8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비상 거시경제금융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제공




정부가 한국과 미국의 금리 역전으로 금융시장이 급격히 불안해질 경우 “과거 금융위기시 활용했던 금융부문 시장안정조치들을 즉시 가동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28일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서울 은행회관에서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와 김주현 금융위원회 위원장, 이복현 금융감독원장과 함께 ‘비상거시경제금융회의’를 개최해 이같이 말했다.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27일(현지 시간) 기준금리를 1.5~1.75%에서 2.25~2.5%로 올리며, 미국 기준금리는 한국 기준금리(2.25%)보다 0~0.25%포인트 높아졌다.

관련기사



추 부총리는 “채권시장이 (금리 인상 가속화에) 과도하게 반응할 경우 긴급 국채 조기상황(바이백)과 국고채 단순매입 등을 적절한 시점에 추진하겠다”라며 “이미 발표했던 회사채·CP 시장 안정조치도 차질없이 시행하겠다”고 설명했다. 지난 13일 금융 당국은 산업은행과 신용보증기금 등의 회사채·CP 매입 정책금융 프로그램 운영을 내년 3월까지 연장하고, 매입 가능 한도를 6조 원으로 확대한다고 밝힌 바 있다.

다만 “과거 한미 금리 역전 현상이 있었을 때 국내 외국인 증권투자자금은 순유입을 유지한 바 있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는 역대 최고 수준의 국가신용등급을 유지하고 있고 외환보유액도 충분하다”며 “이달 들어 외국인 증권자금이 주식·채권 모두 순유입세를 기록하고 있기도 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정부는 “국내 외환시장 구조를 세계 수준의 개방·경쟁적인 구조로 전환할 것”이라며 “3분기 중 외환시장 선진화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비거주자와 외국법인의 국채 등 이자·양도소득세 비과세를 발판으로 우리나라가 세계국채지수에 편입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세종=곽윤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