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영유아 수족구병 2주 새 2.3배 증가…3년 만의 유행

한 여름 유행 최고조

어린이집, 놀이터 등 감염 주의

사진은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이미지투데이사진은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이미지투데이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 후 활동량이 늘면서 손과 발, 입에 물집성 발진이 생기는 수족구병 환자가 최근 2주 사이 2배 이상 급증하며 유행을 타고 있다. 특히 어린이 감염자가 많아 영유아를 둔 가정에서는 개인위생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28일 질병관리청의 감염병 표본감시 주간소식지(29주차·7월10~16일)에 따르면 올해 29주차 수족구병 의사환자(감염 확인 환자+의심 환자) 천분율은 12.5명으로 집계됐다.

의사환자 천분율은 진료환자 1000명 중 수족구병 의사환자의 수다.

29주차 의사환자 천분율은 2주 전인 27주차(6월26일~7월2일) 5.4명의 2.3배에 해당한다. 28주차(7월3~9일)의 10.3명보다는 2.2명 증가했다.

수족구병은 콕사키바이러스나 엔테로바이러스 등 장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발생한다. 특징적인 증상으로는 열이 나거나 입안의 물집과 궤양, 손과 발의 수포성 발진이 생긴다.



바이러스는 호흡기 분비물(침, 가래, 코), 대변, 수건, 장난감, 집기 등을 통해 다른 사람에게 전염된다. 전염력이 강하기 때문에 어린이집, 유치원, 놀이터 등에서 감염되는 사례가 많다.

관련기사



증상 발생 후 7~10일 이후 대부분 자연적으로 회복하지만, 신경계 합병증, 신경원성 폐부종, 폐출혈 등 합병증이 생기는 경우 위험해질 수 있다.

보고된 환자 중에서는 0~6세가 29주 의사환자 천분율 18.0명으로 가장 많았고 증가 속도도 더 빨랐다. 26주 3.4명이었던 것이 27주에는 7.2명으로 증가했고 28주 13.8명으로 늘어났다.

본래 수족구병은 봄이 되면서 환자가 늘고 7월 중순~8월 중순 유행이 최고조에 이르는 경향을 보인다. 하지만 코로나19가 발발한 뒤 2020년과 2021년에는 의사환자 천분율이 가장 높았을 때도 1 안팎이었을 정도로 환자 발생이 적었다.

올해 3년만에 유행하는 것이지만, 유행 규모는 코로나19 이전 시기에 비하면 작은 편이다. 29주차를 기준으로 보면 의사환자 천분율은 2018년 31.8명 2019년 66.4명, 2020년 1.1명, 2021년 0.9명이었다.

질병청은 전국 110개 의료기관으로부터 신고받아 감시체계를 운영하고 있다.

수족구병 예방수칙으로 질병청은 외출 후, 배변 후, 식사 전·후, 기저귀 교체 전·후 등 흐르는 물에 비누나 세정제로 30초 이상 손씻기, 아이들의 장난감, 놀이기구, 집기 등을 소독하기, 수족구병이 의심되면 바로 병의원에서 진료받고 등원 등을 제시하고 있다.

김형민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