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온수 중단하고 분수대 끄고…獨, 에너지 절감 안간힘

러시아에 천연가스 55% 의존 독일

푸틴 '에너지 전쟁'에 직격탄

가정용 가스요금도 크게 오를 듯

27일(현지시간) 필요최소한의 조명만 켜진 독일 베를린 대성당의 모습. AP연합뉴스27일(현지시간) 필요최소한의 조명만 켜진 독일 베를린 대성당의 모습. AP연합뉴스




러시아에 천연가스를 의존하다 직격탄을 맞은 독일이 에너지 절약을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도시 내 유명 명소에 비추던 조명을 끄고 일부 관공서에서는 온수 공급도 중단했다.

28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가디언은 독일 북서부에 있는 하노버가 최근 독일 내 주요 도시 중 최초로 에너지 절약 방안을 발표했다고 전했다. 이에 따르면 하노버시는 시가 운영하는 건물과 레저센터 화장실과 샤워실에 온수를 공급하지 않을 방침이다.



니더작센주에 있는 시 건물도 오는 10월 1일부터 내년 3월 말까지 실내온도가 20도 이하일 경우에만 난방을 켜고 휴대용 에어컨이나 팬히터 사용을 금지했다. 다만 학교, 양로원, 병원 등은 예외를 인정해주기로 했다. 벨리트 오나이 하노버 시장은 "상황이 예측불가능하다"며 "(전력난에 대비해)필수적인 인프라를 보호하는 것이 우선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독일의 수도 베를린에서도 최근 200개의 역사적 기념물과 관공서 건물을 비추던 조명이 꺼졌다. 최근까지도 베를린 전승기념탑, 카이저 빌헬름 기념교회 등에 조명이 비춰졌지만 모두 중단됐다. 베니타 야라쉬 독일 연방 상원의원은 "전쟁으로 인한 에너지 위협이 고조되는 상황에서 에너지를 가능한 조심스럽게 다루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역설했다.

독일 남부의 뮌헨도 이번주 매일 밤 11시까지 켜던 마리엔광장의 시청 조명을 끄기로 했고 분수대도 밤에는 가동을 멈추기로 했다. 뉘른베르크도 시가 운영하는 실내 수영장 4개 중 3개의 문을 닫고 야외 풀장은 9월 25일까지 개방하기로 했다.

천연가스의 55%를 러시아에 의존해온 독일은 최근 러시아가 여러 핑계를 대며 가스 공급을 줄이면서 타격을 받고 있다. 독일은 수입된 천연가스를 가정과 주요 산업에 공급하는데, 정부는 지난 6월 긴급 조치로 전력기업이 최근 상승한 가스 가격을 소비자에게 전가할 수 있게 했다. 대부분의 가정은 가스 사용료를 미리 지불하기 때문에 아직 최근의 에너지 가격 상승을 체감하지 못하고 있지만 문제는 앞으로다.

28일 독일 정부는 "전력기업들이 수 개월 내에 파산에 이르는 것을 막기 위해 소비자에게 부과될 가스 요금이 예상했던 것보다 더 높을 수 있다"고 예고했다. 로버트 하벡 경제부 장관은 "오는 11월 가스 가격이 얼마나 뛸지 알 수 없다"며 "나쁜 소식은 가계마다 수백유로가 될 것이라는 점"이라고 말했다.


이태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