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국내증시

"녹십자, 연 매출 1조 7000억원 무난히 달성할 것" 신한금융투자 [Why 바이오]

"2분기 실적 가이던스 못미쳤지만 하반기 기대"

"독감백신, 혈액제제, ETC 호조…미국 진출 모멘텀 주목"






신한금융투자는 녹십자에 대해 연간 가이던스인 올해 매출 1조 7000억 원과 영업이익률 6% 내외 달성은 무난할 것으로 내다봤다.

정재원 신한금융투자 책임연구원과 이동건 수석연구원은 2일 보고서를 내고 “본 사업의 기조는 유지하면서 추가적인 모멘텀이 발생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이같이 예상했다.



보고서는 하반기 녹십자의 주력 분야인 독감 백신과 혈액제제 사업이 모두 잘 될 것으로 에상했다. 보고서는 “하반기에는 국내 독감백신과 북반구향 수주되는 독감백신에 대한 매출이 모두 인식될 예정”이라며 “혈액제제 사업부도 브라질 등 지역으로 판매가 확대됨에 따라 견조한 매출 흐름을 이어갈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아울러 보고서는 “처방의약품 사업부에서도 다비듀오, 바라크루드 등의 주요 전문의약품(ETC) 제품 매출이 꾸준하게 성장 중”이라며 “또한 헌터라제, 그린진에프 등 해외 출시 제품들에 대한 모멘텀과 혈액제제의 미국 진출에 대한 기대감도 여전히 남아있다”고 평가했다.

녹십자는 1일 연결기준 매출 4232억 원의 매출과 영업이익 131억 원의 2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매출과 영업이익 각각 지난해 2분기에 비해 9.2%, 18.0% 증가한 것이지만 컨센서스에는 미치지 못했다. 신한투자증권은 “녹십자 2분기 영업이익은 미국 자회사인 큐레보에서 진행 중인 차세대 대상포진백신의 임상2상 개시 관련 비용이 추가적으로 발생하면서 컨센서스를 하회했다”고 진단했다.

신한금융투자는 이같은 사정과 전망을 감안해 녹십자 목표주가를 21만 원으로 하향 조정했다. 보고서는 “하반기 기대되는 모멘텀들 중에서도 혈액제제 미국 시장 진출 관련 건이 가장 크다”면서 “미 식품의약국(FDA)의 PAI(Pre-Approval Inspection) 승인 시점이 중요하다”고 평가했다.



◇Why 바이오는=‘Why 바이오’ 코너는 증시에서 주목받는 바이오 기업들의 이슈를 전달하는 연재물입니다. 주가나 거래량 등에서 특징을 보인 제약·바이오 기업에 대해 시장이 주목한 이유를 살펴보고, 해당 이슈에 대해 해설하고 전망합니다. 특히 해당 기업 측 의견도 충실히 반영해 중심잡힌 정보를 투자자와 제약·바이오 산업 관계자들에게 전달합니다.


맹준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