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경기도, 비상시 행동 요령·대피시설 위치 숙지…신속·안전한 대피 가능

국민재난안전포털 대피소 검색 화면 갈무리국민재난안전포털 대피소 검색 화면 갈무리




경기도는 범정부적 비상 대비 훈련인 ‘2022 을지연습’을 앞두고 도민들에게 비상시 행동 요령과 대피시설 위치 등의 정보를 신속히 확인할 수 있도록 ‘안전디딤돌’ 앱 등을 널리 활용해 달라고 10일 밝혔다.



이는 우크라이나 사태, 북한의 미사일 발사 등 최근 국내외 안보 상황의 불안정성이 확대됨에 따라 민방위 등 비상 대비 태세 확립의 중요성이 커진 데 따른 것이다.

관련기사



경기도는 김포·파주·연천 등 7개 접경지역 시군을 포함하고 있는 만큼 평상시 주민 행동 요령과 대피시설 위치를 숙지하는 것이 비상 상황 시 자신의 생명을 지킬 수 있는 지름길이라는 것이 도의 설명이다.

현재 도내에는 77개소의 정부 지원 주민대피시설과 3703개소의 공공용 주민대피시설이 지정돼 있으며, 상세 위치와 이동 경로 등은 국민재난안전포털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정부 모바일 재난 안전 정보 앱 ‘안전디딤돌’로도 같은 서비스를 제공함에 따라 언제 어디서든 비상 상황 시 각종 재해·재난 정보 획득부터 대피까지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원진희 경기도 비상기획담당관은 “가까운 대피시설 위치와 주민 행동요령을 숙지하는 것은 ‘코로나19 예방을 위한 마스크 착용’과 같이 비상 상황 시 자신과 가족의 생명을 구할 수 있는 가장 손쉽고 효율적인 방법”이라며 “도민들의 적극적인 활용을 당부한다”고 말했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