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與, 연말 전대론 급부상…김기현·친윤도 긍정적

국감·예산안 심사 중 개최 어려워

이준석 징계 만료시기 고려 평가도

주호영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18일 국회에서 열린 비대위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권욱 기자주호영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18일 국회에서 열린 비대위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권욱 기자




국민의힘의 차기 지도부를 뽑는 전당대회 시기로 정기국회가 종료된 12월 말이 급부상하고 있다. 정권 교체 이후 첫 국정감사와 예산안 심사 기간에 전당대회를 치르기 어렵다는 당내 공감대가 형성되면서 가을 전당대회 개최를 주장했던 김기현 의원도 입장을 선회했다.

김 의원은 18일 MBC 라디오 방송에서 “(전당대회 시기는) 정기국회와 특별한 상관이 없다”면서도 “(당내) 의견들을 다 존중해 비대위가 적절한 시점을 결정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앞서 더불어민주당의 지도부에 맞설 힘 있는 지도부가 필요하다는 취지로 9~10월 전당대회를 주장한 김 의원이 연말 전당대회 개최 요구를 수용하겠다고 밝힌 것이다. 김 의원 측 관계자는 올해를 넘기면 곤란하다면서도 “수해 등의 변수로 전당대회를 서둘러 열기에는 무리가 따른다”며 “당내 이해관계를 종합해 시기를 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당내 주류인 친윤계 그룹도 연말 전당대회 개최에 수긍하고 있다. 12월 초 예산안 심사를 마치고 나서 바로 전당대회 일정에 돌입하면 통상 3주가 걸리는 전국 권역별 토론회 및 TV 토론회를 소화하고 12월 말 전당대회가 가능하다는 시나리오다.

크리스마스를 전후로 한 전당대회가 힘을 받는 것과 관련해 이준석 전 대표의 거취를 고려했다는 평가도 나온다. 지난달 8일 당 윤리위원회로부터 ‘6개월 당원권 정지’ 처분을 받은 이 전 대표는 내년 1월 7일 징계가 만료된다. 성접대와 관련한 경찰 수사에서 무혐의가 나오고 전당대회가 올해를 넘긴다면 최근 당 대표 여론조사에서 선두권을 달리는 이 전 대표가 당권에 재차 도전할 가능성이 있다.

당권 도전을 시사한 나경원 전 원내대표와 안철수 의원도 이 같은 시간표에 공감하고 있다. 나 전 원내대표는 전당대회 시점과 관련해 “9~10월에는 잘 못할 것 같다”고 밝혔다. 안 의원 측 관계자는 시기를 특정하지 않으면서도 “국정감사에서 민생을 챙기는 여당의 역할을 하고 전당대회는 그 뒤에 하는 것이 맞다는 것이 안 의원의 생각”이라고 말했다.

전당대회 개최 시기의 키를 쥔 주호영 비상대책위원장도 연말 이후 전당대회에 무게를 싣고 있다. 주 위원장은 1~2개월 단기 관리형 비대위 체제에 반대의 뜻을 명확히 하며 “당 내외에서 정기국회를 끝낸 뒤 전당대회를 치러야 한다는 의견이 압도적으로 많았다”고 밝힌 바 있다.


이승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