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정책·제도

장안동 동부화물터미널 부지 '39층 복합공간' 탈바꿈

교통·소음문제로 20년 방치됐다

물류시설 지하화해 복합개발 선택

2024년 상반기께 착공 가능할듯

동부화물터미널 복합시설 조감도/자료 제공=서울시동부화물터미널 복합시설 조감도/자료 제공=서울시




한때 서울 동부 지역 물류의 핵심 거점이었던 장안동 동부화물터미널 부지가 최고 39층의 복합 공간으로 새롭게 탄생한다.



서울시는 동대문구 장안동 동부화물터미널 부지(약 5만 ㎡)에 대한 개발계획안을 마련하기 위한 ‘도시 계획 변경 사전 협상’을 마무리했다고 22일 밝혔다. 장안동 동부화물터미널 부지는 동부간선도로와 중랑천에 인접하다는 지리적 이점에도 2000년대 중반 이후부터 본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한 채 지역의 애물단지로 방치됐다. 대형 물류 차량 진출입과 교통량 증가, 소음 등을 불편하게 여긴 지역 주민들의 우려와 반대로 여러 차례 개발이 좌초된 탓이다.

관련기사



서울시는 반복된 시행착오를 피하기 위해 이번 계획안에서 물류 시설을 100% 지하화하는 방식을 선택했다. 소음과 분진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물류 차량의 별도 전용 동선을 마련해 교통 혼잡 등 부영향을 최대한 줄이고 소형차·전기차 등 친환경 차량 위주로 운행할 계획이다. 대형 물류 차량은 통행 시간을 특정 시간대로 제한한다.

지상부는 최고 39층 규모의 아파트·오피스텔, 업무 시설, 쇼핑센터 등 판매 시설, 서울형 키즈카페 등 공공시설 등으로 채워진다. 고층부에는 528가구 규모의 주거 시설과 업무 시설이 배치된다. 특히 타워형·테라스형 등 특화 건축 디자인을 적용할 계획이다. 중랑천과 가까운 부지 동측에는 랜드마크 타워가 들어설 예정이다.
공공 기여를 통해 주민 삶의 질도 높인다. 해당 부지를 유통 상업 지역에서 준주거, 근린 상업, 유통 상업으로 도시 관리 계획을 변경하며 확보할 수 있는 공공 기여 규모는 약 848억 원으로 시는 이를 중랑천 수변 여가 시설과 도로 확장 등으로 지역에 재분배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이번 개발계획안에 대한 주민 의견을 청취하고 도시건축공동위원회 심의를 거쳐 연내 지구단위계획을 결정하며 이르면 2024년 상반기 착공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양지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