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한혜진 靑화보 공개된 날…탁현민 “국가 품격 떨어졌다”

사진제공=보그코리아사진제공=보그코리아




모델 한혜진 등이 참여한 청와대 배경 패션화보가 공개된 가운데 탁현민 전 청와대 의전비서관이 “국가의 품격이 떨어졌다”고 맹비난했다.



탁 전 비서관은 지난 22일 오후 페이스북을 통해 윤석열 정부가 청와대 개방 조치를 시행한 것을 일제강점기 시절 일본이 창경궁을 창경원으로 만들어 개방했던 것에 빗대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일본이 창경궁을 창경원으로 만든 이유는 식민지 백성들에게 오락거리를 제공하면서, 대한제국의 권위를 떨어뜨리고, 새 권력인 일본 제국주의에 대한 호감을 얻기 위한 수단이었다”며 “과연 윤석열 정부의 청와대 폐쇄는 어떤 이유냐”고 반문했다.

탁현민 전 청와대 의전비서관. /연합뉴스탁현민 전 청와대 의전비서관. /연합뉴스


탁 전 비서관은 “윤석열 정부가 청와대 폐쇄로 인해 연쇄적이고 지속해서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고 예견했는데, 이미 의전, 경호, 보안, 소통, 업무 연속성, 위기대응 등 모든 면에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며 “윤석열 정부의 청와대 폐쇄는 절차와 과정 그리고 기대 효과 면에서 모두 실패한 결정”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대한민국 ‘대통령사’ 라는 역사의 단절과, 대통령과 국가의 권위, 외교행사 등에서도 문제가 되고 있다”며 “자업자득인데, 참으로 속상한 것은, 그 자업자득이 대한민국의 국격과 많은 국민의 부끄러움으로 전이된다는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이번 광복절 경축식의 장소가 용산의 새 대통령 집무실 앞마당인데 그저 국방부 연병장에 불과했던 장소를 광복절 경축식의 장소로 결정하고 어떤 상징도, 역사성도, 미래에 대한 메시지도 없이 파리한 행사를 했다”고 비판했다.

관련기사



사진제공=보그코리아사진제공=보그코리아


탁 전 비서관은 “여전히 청와대 폐쇄와 관련한 국민의 부정적 여론이 사그라지지 않아 윤석열 정부가 무리수를 두고 있다”고 꼬집기도 했다. 그는 “급조한 개방행사, 관람객들의 쓰레기 하나 제대로 대처 못 하는 관리부실의 문제, 총독관저 모형 복원 논란, 상업광고 촬영과 같은 설익은 활용계획은 부정여론을 더욱 공고하게 한다”며 “청와대 폐쇄는 아마도 윤석열 정부의 시작은 물론, 정부가 끝난 이후에도 상징적인 사건이 될 것이며, 그 값을 치러야 할 것”이라고 했다.

아울러 “청와대는 영욕의 공간이다. 그 모든 시대가 아름다웠던 것은 물론 아니다. 지우고 싶고, 가리고 싶고, 숨기고 싶은 역사도 그 안에 있다. 하지만 그 또한 역사다. 미국이 백악관을 영국에게 점령당했었다고 폐쇄하지 않았듯이, 역사는 그러한 치욕까지도 유지하고 보존해 새로운 시대 새로운 권력에게 엄중한 메시지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며 “우리는 역사의식과 인문적 소양이 없는 정치권력이 얼마나 국가의 품격을 떨어뜨릴지 슬프지만 우리는 지속적으로 확인하게 될 것”이라고 했다.

탁 전 비서관은 “일본이 창경궁을 동물원으로 만들고 사쿠라(벚꽃)를 심고, 벚꽃가지를 흔들며 야간 개장행사를 했듯이 아마도 윤석열 정부는 임기 내내 청와대와 용산 사이에서 엄한 짓들을 하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사진제공=보그코리아사진제공=보그코리아


한편 패션 잡지 ‘보그 코리아’는 공식 홈페이지에 ‘청와대 그리고 패션!’이라는 제목의 화보 사진을 이날 공개했다. 해당 화보는 문화재청이 ‘문화유산 방문 캠페인’의 하나로 보그 코리아와 협업한 것으로 촬영엔 모델 한혜진·김원경·김성희·오송화·이애리 등이 참여했다. 총 32장으로 구성된 화보는 청와대 본관, 영빈관, 상춘재, 녹지원 등에서 촬영됐다.


박동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